한강유역환경청 등 지방 환경청의 화학물질사고와 화학테러 대응장비가 낡아 제대로 된 방제활동이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은수미 의원(새정연ㆍ비례)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2015년 지방환경청 화학물질 사고 및 화학테러 대응장비 현황’에 따르면 분석ㆍ탐지 장비와 제독장비, 방제장비ㆍ약품 등 장비 48종 가운데 평균 20%가 장비사용 유효기간이 지난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장비 현황은 한강청 31.8%, 금강청 21%, 낙동강청 20.3%, 영산강청 13.4%, 대구청 15.2% 등 평균 19.4%였다.
특히,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한강청의 장비노후화율은 31.8%로 평균대비 10%정도 높다.
은 의원은 “한강청은 관할지역이 넓은데다 인구수도 가장 많아 화학사고 발생시 막대한 피해를 낳을 수 있기 때문에 대응장비 유지보수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방환경청은 화학테러ㆍ사고 등에 대해 사건상황을 보고ㆍ전파하고 현장 대응활동 지휘ㆍ조정, 관계기관 지원 요청 등 화학물질의 특성에 따라 주민보호조치와 오염 확산 방제, 제독ㆍ통제를 해야 한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