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청년창업이 대세다. 혹자는 광풍이라고도 표현할 만큼 그야말로 대세가 맞기는 맞다. 오늘 필자는 이 자리를 빌어 왜 이 시대에 청년창업이 이렇게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독자 여러분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자 한다.
요즘의 청년들은 정말 힘들다. 좁은 취업문, 빡빡한 경쟁 등 이 험한 세상에 나서는 자기 자신들을 5포 세대니, 88인원세대니 하며 자조섞인 목소리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가 오래 지속되면 자칫 사회 및 경제 전반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국가의 근간을 위협할 우려마저 있다.
필자는 이러한 청년들의 고난이 저성장 경제로 인한 기회의 박탈이라는 측면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누구에게나 기회는 주어져야 하는 것이 맞지만 요즘 청년들에게는 그러한 기회 자체가 적다. 그래서 힘든 것이라고들 말한다.
그렇다면 기회란 무엇일까?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요건이 아닐까 한다. 사회에 진출하여 성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건이 지금은 없다는 말이다. 여기서 필자는 슬픔을 느낀다. ‘사회가 주는 기회가 적어서 난 5포 세대가 되었다’라고 한다면 우리 대한민국 청년들이 이렇게 나약하다는 말이다.
하지만 우리 청년들은 나약하지 않았다. ‘주어지지 않는 기회를 기다리느니 내가 기회를 만들겠다’면서 창업이라는 새로운 길을 찾아나서고 있다. 그래서 자신과 같은 청년들에게도 기회를 만들어주고 나아가서는 이 사회에도 기존의 시스템과는 다른 편익을 제공하며 기회를 만들어주고 있다. 그게 곧 일자리고 새로운 시장이고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는 것이다.
청년창업사관학교에서도 많은 기회가 만들어지고 있다. 세계최초 초소형 태양광충전기, 의료혜택의 불모지를 위한 원격의료 시스템, 부동산 거래 시스템의 불확실성을 해소시키는 부동산 거래 서비스, 신나는 디제잉을 손에 들고 다니면서 할 수 있는 포터블디제잉머신 등 이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새로운 것들이 매년 쏟아져 나오고 있다.
물론 모든 창업자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성공한 창업자들에게서 창출되는 경제적 효과는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크다.
요즘 필자는 매일 만나는 청년창업가들을 바라보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간만에 가슴이 뛰는 것을 느낀다. 청년창업자들은 제각기 개성도 틀리고 관심분야도 틀려 다양한 도서관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다. 하지만 그들에게서 한가지 공통점이 있다. 바로 눈이 맑게 빛나고 있다는 점이다. 그 맑은 눈에서 필자는 그들의 꿈이 살아서 꿈틀거리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한민국 청년들이 너도나도 창업에 뛰어드는 이유. 그것은 단지 취업이 힘들어서 취업 대신 창업이 아니라 자신들이 이루고자 하는 꿈이 있기에, 그 꿈을 같은 청년들과 나아가서는 대중들과 나누고 싶어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청년들은 나약하지 않다. 그래서 기존의 시스템에서 해소되지 못하는 문제들을 자신들이 직접 해결하고자 자신들의 인생을 던질만큼 용감하고 똘똘하다.
왜 청년창업이 대세인가라는 본 글의 화두에 필자는 이렇게 대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청년들은 충분히 용감하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그들의 등 뒤를 바라보며 있는 힘껏 앞으로 밀어주는 것뿐입니다.”
최원우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사관학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