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류 주민-지자체 합동정화 효과적인 한강수계관리 계기로

인터뷰   한강 수중정화 동참 정연만 차관

정연만 환경부 차관은 19일 한강잠실공원에서 열린 한강 상ㆍ하류 협력 수중정화활동에 참석해 상ㆍ하류 지역과 협력ㆍ실천을 다짐하는 합수(合水)식과 결의식 등을 가졌다.

-이번 정화활동의 목적은 무엇인가?

한강은 수도권 2천500만 주민의 식수원으로 주요한데다 지역 주민들의 안식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 아이들에게는 생태 학습을 위한 장소다. 따라서 이번 정화활동은 상류와 하류 지역의 주민과 지자체가 모여 합동으로 수중정화활동을 함으로써 화합과 상생을 도모할 수 있는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특히, 이 번 행사는 각종 환경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아이들에게 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워 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나아가 상ㆍ하류 지역주민과 중앙ㆍ지방정부가 신뢰관계를 쌓아가고 효과적인 한강수계 유역관리를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한강 유역관리 방안은?

정부는 지난 1998년 ‘팔당호 등 상수원 수질관리 특별종합대책’을 수립한 뒤 이듬해 ‘한강수계 상수원 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 유역관리 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했다. 비단 한강 뿐만 아니지만 수계관리위원회를 구성ㆍ운영해 지역간 자율적 논의를 바탕으로 유역관리제도 운영 방향을 결정하고 있다.

또한 물이용부담금을 기반으로 한 수계관리기금을 조성해 재정여건이 열악한 환경기초시설 설치사업 등 각종 수질개선사업에 투자하고 있는가 하면 토지이용규제로 재산권 제한을 받는 상류지역 주민들의 소득과 복지증진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 지역주민들의 의사에 따른 개발을 전제로 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등을 운영 중에 있다.

따라서 이런 제도들은 상ㆍ하류 지역 주민들의 참여가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성공적인 유역관리를 위해 민ㆍ관의 참여와 협력, 실천 정신이 절대 필요하다.

- 한강의 맑은 물 만들기를 위해 어떤 일을 하나?

깨끗한 한강을 만드는 일은 지역주민, 나아가 국민들의 참여 없이는 이루기 힘들다. 환경부는 맑은 한강을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 줄 수 있도록 지역주민ㆍ지방 정부와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

하남=강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