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에 없는 오산비행장 때문에 22만 오산시민이 단단히 뿔이 나있다.
평택시 소재 오산비행장에서 올해 5월 초 미 탄저균 배달 사건이 발생하였으나 지역의 많은 지인이 오산비행장이 오산시에 있는 줄 알고 안부 전화를 하는 등 한바탕 소동이 일어난 것이다.
오산비행장은 오산시가 아닌 인근의 평택시 송탄 지역에 자리 잡고 있으나, 오산비행장으로 불리고 있어 혼란과 지역사회의 갈등으로 많은 행정력이 낭비되고 있다고 성토하고 있다.
오산비행장의 명칭 유래는 일제 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서울 여의도에 이어 오산에 두 번째, 김포에 세 번째 비행장이 건설됐으며, 처음에 오산천 둔치에 있던 오산비행장은 6·25전쟁 중 미군이 사용하다가 1952년 지금의 평택시 송탄지역에 새로운 비행장을 건설하여 이전하면서 없어졌으나, 명칭은 ‘K-55 오산에어베이스’로 그대로 사용해 지금까지 오산비행장으로 불리고 있다고 한다. 오산비행장의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는 여론은 사실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現 곽상욱 오산시장이 과거 지역사회에서 활발하게 시민단체운동을 하던 2005년, 당시 오산자치시민연대 위원장으로 오산비행장의 명칭을 바로 잡고자 ‘오산비행장명칭변경추진위원회’를 이끌며 많은 시민의 서명을 받아 국방부를 비롯한 관계기관에 오산비행장의 명칭을 변경해 줄 것을 건의한 바 있다.
오산시에서 평택시에 있는 오산비행장의 명칭을 변경하고자 하는 데는 단지 탄저균 배달사건뿐만 아니라, 주한 미군과 연관된 각종 사건, 사고 발생 시 주한 미군과 아무런 연관이 오산 지명이 도마 위에 오르는 등 불합리한 비행장 명칭 때문인 시민의 불만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사실 오산시는 미군과 깊은 연관이 있는데, 6·25전쟁 당시 미군 24사단 선발대가 오산 죽미령에서 처음으로 전투를 벌여 많은 희생을 치르며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였으며, 이 때문에 국군과 유엔군이 전열을 정비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 결과적으로는 낙동강 방어와 인천상륙작전 등을 통한 전세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명칭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오산비행장의 명칭이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는 군사자료에 명기되어 있어서 변경 시 과도한 비용이 들고, 또 미군들에게는 기존에 사용하던 오산이 평택보다 발음하기 좋고 편리해서 변경이 어렵다는 것이다.
한편, 오산이 지역구인 안민석 국회의원은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첫째로, 오산비행장 명칭을 변경해 줄 것과 둘째로, 명칭변경이 불가능할 때는 오산비행장이 있는 지역을 오산시로 편입시켜 줄 것을 요구하고, 이것이 불가능할 때는 정부 또는 미군이 오산시에 피해 보상을 해 달라고 요구하였으며, 이 세 가지 중에서 어떤 것이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인지 국방부와 행정자치부가 협의하여 국정감사 전까지 보고해 달라고 했다.
이처럼, 오산비행장 명칭을 바꿔야 한다는 움직임은 정치권뿐만 아니라 종교단체, 시민단체 등 각처에서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진정한 한미동맹을 위해서라도 조속히 오산비행장 명칭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이영애 오산시 자치행정과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