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 채용’ 공염불 전락?

메르스·수출부진 ‘이중고’… 하반기 中企 채용규모 ‘뚝’

중소기업중앙회와 정부 등이 청년실업난 해소를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청년 1+ 채용 운동’이 공염불에 그칠 것이란 우려를 낳고 있다. 더구나 실제 중소기업 현장에서는 이번 정책이 현실과 동떨어진 ‘전시 행정’이라는 비판마저 나오고 있다.

1일 중소기업중앙회 등에 따르면 중기중앙회는 지난 4월부터 청년 실업률 해소의 일환으로 ‘청년 1+ 채용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 1개사당 청년 미취업자 1인을 고용하겠다는 의미로, 중기중앙회는 이를 통해 13만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한다는 구체적인 추진 목표도 발표했다. 특히 7월 정부에서도 청년 고용절벽 해소 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청년 1+ 채용운동 지원사격에 나섰다.

그러나 올 하반기 중소기업 신규 채용 예상 규모는 지난해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인쿠르트가 최근 중소기업 527곳을 대상으로 하반기 ‘신입 채용계획’을 조사한 결과 33.8%만이 채용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지난해(34.0%)와 별 차이가 없는 것이다. 오히려 채용 인원은 총 3천여명으로 지난해 3천200여명보다도 감소했다. 메르스 여파 등으로 침체된 내수경기와 국제시장 불안정으로 수출부진까지 겹치면서 경영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채용 여력이 낮아졌다는 분석이다.

이런 가운데 중소기업 현장에서는 이번 ‘청년 1+ 채용 운동’이 기업의 현실은 고려하지 않은 ‘탁상공론’에 불과하다는 비판까지 제기되고 있다. 청년들이 중소기업에 취직하기를 꺼리는 상황에서 청년 추가 채용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화성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최모 대표(59)는 “생산라인에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정도로 일손이 부족하지만, 환경이 열악해서 젊은 층은 오질 않는다”며 “중소기업에서 청년 채용을 확대한다고 해봐야 효과가 얼마나 될까 회의감이 든다”고 말했다.

이에 중소기업들은 청년층의 중소기업 인식 개선과 인력 미스매치 해소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강일 경기벤처기업협회 회장은 “중소기업 대다수가 일할 사람이 없어도 구하지를 못하는 실정인데, 이런 현실은 반영하지 않고 청년을 더 채용하라는 것은 말 그대로 전형적인 ‘전시행정’에 불과하다”며 “청년들의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않는다면 어떤 정책이든 실효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관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