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친환경, 저탄소, 녹색산업 성장 동력을 위해 LED 조명 보급을 권장하고 있으면서도 여주∼장호원을 잇는 국도 37호선 확장 구간에 LED와 고효율 가로등을 설치해 달라는 여주시의 요구를 무시하고 10여 년 전 설계된 일반 가로등을 설치해 물의를 빚고 있다.
16일 서울국토청과 시 등에 따르면 서울국토청은 지난 2005년부터 총 사업비 1천72억 원을 들여 ‘여주나들목~장호원(4차선, 8.3km) 37호 국도의 확ㆍ포장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연말 준공을 앞둔 공사구간에는 총 360여 개의 가로등이 메탈등(구형 가로등)으로 설치될 예정이며, 이 중 150개가 여주나들목~삼교동 구간에 설치돼 준공 후 유지관리 권한이 시로 이관될 예정이다.
그러나 공사구간에 설치 예정인 가로등이 12년 전인 2004년 도로설계 당시 반영된 것으로, 최근 국가 에너지절약 정책에도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시는 지난해부터 수차례에 걸쳐 서울국토청을 상대로 공사 구간 내 가로등을 모두 LED 등으로 교체해줄 것을 요구했다. 정부 정책이 저탄소와 녹색산업 등 기후환경 변화에 대처하기위해 고효율 LED 가로등으로 바뀐 만큼 시는 기존 가로등을 정부시책에 맞게 교체해 줄 것을 요구한 것이다.
또한 시는 유지관리 권한을 넘겨받을 경우, 매년 내야 할 전기료 부담도 만만치 않아 예산낭비도 우려하고 있다. 시의 가로등 전력요금 분석 결과, LED 등 1개당 연간 전력요금은 5만4천 원인 반면 메탈등은 10만4천 원으로 2배가량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또 시가 추후 도시미관을 위해 360여 개의 가로등을 모두 LED 등으로 교체할 때도 5억 원 상당의 추가 예산 투입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서울국토청에 도시미관을 고려해 도로공사 구간의 가로등을 LED등이나 고효율 메탈 등으로 설치해 줄 것을 요구했으나 반영되지 않았다”며 “연말 도로공사가 준공되면 시로 관리권한이 이관되는데 이때 관리권한을 거부하는 등 보다 강경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국토청 관계자는 “올 연말 준공을 앞둔 상황에서 LED 등으로 교체하는 것은 사실상 힘들다”며 “시에서 지난해부터 가로등을 LED로 교체해 줄 것을 건의해 왔으나 현장여건상 반영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여주=류진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