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청년고용 종합대책 발표
사상 최악의 청년 실업난 속에 정부가 오는 2017년까지 청년 일자리 기회 20만개 이상을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공공부문에서 5만3천명, 민간에서 16만명의 청년 일자리 기회를 창출하겠다는 복안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청년 고용절벽 해소를 위한 민관합동회의’에서 ‘청년 고용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4만개, 내년 7만8천개, 2017년에는 9만3천개 등 3년 동안 총 21만여개의 청년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21만3천개의 일자리 중 8만8천개는 정규직 수준의 채용이 이뤄진다. 우선 초ㆍ중등 교원의 명예퇴직을 확대, 1만5천명가량의 신규 채용 여력을 확보하고 추가경정예산 집행을 통해 어린이집 보조ㆍ대체교사가 1만3천여명 추가된다. 보건분야에서도 포괄간호서비스 조기 확대 등을 통해 1만여명을 채용한다.
올해부터 임금피크제가 도입되는 공공기관은 절감된 인건비를 활용해 청년고용 8천명을 확충하고 공무원 시간선택제 제도 또한 개선해 4천500명을 새로 뽑는다.
민간부분에서는 청년 정규직을 신규 채용한 기업에 1인당 연간 1천80만원을 2년 동안 지원하는 ‘세대 간 상생고용 지원제도’를 통해 채용인원을 3만여명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해외취업 인력도 2017년까지 연 5천명에서 1만명 수준으로 늘릴 방침이다.
신규채용을 제외한 나머지 12만5천명은 청년인턴, 직업훈련, 일학습병행제 등을 통해 제공되는 일자리 기회를 얻게 된다.
강소ㆍ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청년인턴제 대상을 확대해 7만5천명을 확충하고 IT와 바이오 등 유망ㆍ성장직종을 중심으로 2만명의 직업훈련 자리를 만든다. 여기에 재직자 위주로 운영되던 일학습병행제 대상을 재학 단계로 확산시켜 3만명가량 대상자를 늘린다.
최경환 부총리는 “산업현장을 중심으로 인력을 양성해 수급상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청년 고용지원 인프라도 효율적으로 재편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관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