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세균병’ 발병 안성 송교마을 매몰작업으로 대형 벌목장 방불 농민들 “5년간 심을 수도 없어”
“30년 동안 자식처럼 키운 나무인데 하루아침에 잃으니 눈물밖에 안 납니다”
9일 오전 10시30분께 안성시 서운면 현매리 송교마을. 350여가구가 주로 배농사를 짓는 이 마을에 때아닌 굴착기 굉음이 울려퍼지고 있었다.
주황색의 대형 굴삭기 6대가 배과수원에 들어선 채 배나무를 연신 뽑아내면서 마치 대형 벌목장을 방불케 했다.
굴착기가 뽑고 있는 것은 모두 국내에서 처음 발병한 ‘과수세균병(화상병)’에 감염된 배나무로 나무마다 알사탕 만한 크기의 배 열매가 맺혀 있었다. 일부는 줄기 끝이 검게 타들어 갔고 한켠에서는 뽑아 낸 배나무를 구덩이를 파 묻고 있었다.
이미 작업이 끝난 한 과수원은 석회가루가 배나무 자리를 대신하고 있었다. 이를 지켜보는 농민들은 마른 입술을 깨물며 쓴웃음을 짓는다.
농장주 최종순씨(58)는 “28년 동안 과수원(규모 1만9천834㎡)에서 배농사만 해왔다”며 “생때 같은 배나무가 땅에 묻히는 걸 보니 가슴이 먹먹하고 아프다”고 한숨만 쉬었다. 이어 최씨는 실성한 사람처럼 연신 “배나무 수명 50년 중 가장 절정기가 올해였는데···”라는 혼잣말만 되풀이 했다.
이날 최씨 농장에서 100여m 떨어진 정기훈씨(54) 농장에서도 320여그루의 배나무가 매장됐다. 정씨는 “17살 때부터 부모님과 함께 과수원을 일궈왔는데 모두 땅에 묻혔다”며 “앞으로 5년 동안 배를 심을 수 없다는 말에 이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안성과 천안지역에서 배나무 화상병이 처음 창궐하면서 매몰작업이 진행, 배 농가들의 속을 태우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7일 안성의 배 과수원(1만7천㎡, 6그루)에 화상병이 발견된데 이어 이 병이 곤충이나 비바람 등 다양한 경로로 전염, 천안 지역까지 확산됐다. 화상병은 9일 기준 안성과 천안지역에서 총 26만7천㎡ 37곳 농가에 발생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발병 원인을 조사하고 있으며 발생지 주변 반경 5㎞를 관리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방역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