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 메르스 종합관리대책본부의 지위를 경기지사와 도교육감 공동본부장체제로 격상시키는 등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총력대응에 나섰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8일 도 상황실에서 메르스 예방대응을 위한 시장·군수 영상회의를 열고 “메르스와의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해 도와 시ㆍ군, 교육청 간 소통과 협력으로 물샐 틈 없는 대비와 빠른 대처를 하겠다”며 “오늘부로 경기도 메르스 종합관리 대책본부를 도지사와 교육감을 공동본부장으로 하는 체제로 격상한다”고 밝혔다.
대책본부장이 도지사와 교육감으로 격상됨에 따라 메르스 종합관리대책본부의 기구도 확대된다. 도는 8일부터 상황 종료 시까지 24시간 근무체제를 유지하며 이기우 도 사회통합부지사를 방역대책 부본부장, 박수영 도 행정1부지사를 행정지원 부본부장, 김원찬 1부교육감을 교육안전 부본부장, 강태석 도 재난안전본부장을 안전 부본부장으로 임명하는 등 부본부장 체계를 갖추고 경기도 메르스 예방과 자원분배, 학교 관련 등 메르스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공동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기로 했다.
대책본부 격상과 함께 도와 시·군간 공조체제도 강화된다. 도는 매일 오전 8시30분 이기우 도 사회통합부지사 주재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9개 시 부단체장과 보건소장, 교육지청장이 함께하는 영상 정례회의를 갖는다.
또 매일 오전 9시 남 지사 주재로 도 3 부지사와 주요 간부, 교육청, 경찰청 등 관계 기관 관계자 등이 함께하는 일일점검 회의를 열어 현황파악과 대책 마련에 나선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메르스 관련 어린이집 대책과 격리병원 지정에 따른 운영비 지원, 보건인력이 부족한 평택시에 대한 인력 지원방안 등이 발표됐다.
먼저 도는 8일부터 오는 14일까지 부천과 평택, 화성, 안성, 오산, 성남, 용인, 남양주, 수원 등 확진 환자 발생이나 경유 병원이 소재한 9개 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휴원 명령을 내리기로 했다.
맞벌이 부부 등 아이들을 맡길 곳이 없는 가정을 위해 도는 휴원 기간에도 긴급보육을 위한 당번교사를 배치, 아이들을 돌보도록 했다.
도가 감염병 관리기관으로 지정하는 민간병원에 대해서는 소요경비를 지원한다. 도는 기존 4인~8인 병실을 1인 격리 병상으로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 도 예산을 통해 지원할 방침이다. 도는 지원재원으로 재난관리기금 520억원과 예비비 583억원 등을 사용할 방침이다.
자가격리자에 대한 모니터링으로 일손이 부족한 평택시에는 평택시 인근 성남과 안양, 광명, 광주 등 14개 시·군에서 39명의 보건소 직원을 지원한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