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와 전쟁’… 진료병원 공개 목소리 커져

“정부 방역대책 못 믿겠다” 병원 공개 사이트까지 등장

시민단체 “환자 거쳐간 병원 알려 추가 감염 막아야”

확진 환자 35명… 보건당국은 비공개 방침 ‘요지부동’

메르스 감염환자 5명이 추가로 확인되면서 모두 35명으로 늘어났다. 이처럼 메르스 여파가 계속되자 발생 지역과 병원 이름을 공개하라는 목소리도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보건당국은 여전히 비공개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감염 환자가 거쳐 간 것으로 파악되는 전국의 병원을 모두 정리했다고 주장하는 웹사이트까지 등장하는 등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4일 IT업계에 따르면 해당 사이트는 웹 페이지 전면에 전국 지도를 펼치고 오른쪽 메뉴에 메르스 환자가 진료 또는 확진 판정을 받았거나 격리된 병원을 나열했다.

이 사이트를 통해 구체적인 이름과 지역이 공개된 병원은 총 14곳으로, 전날 보건당국이 메르스 환자가 거쳐갔다고 밝힌 병원 수와 일치한다.

사이트를 살펴본 한 의사는 “메르스 확산 지도 덕분에 환자를 보는 데 안심이 된다”며 “병원이 공개되면 오히려 철저히 소독하고 격리된 모습을 보여 안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시민단체도 기자회견 등을 갖고 “국민 불안과 메르스 확산 차단을 위해 병원명과 감염경로를 투명히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여당인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역시 “모든 정보를 국민에 신속, 정확히 공개하고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한 대책을 발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홍콩은 지난 2003년 사스 발생 당시 확산 차단을 위해 치료병원 명단을 공개했으며, 이에 대해 세계보건기구는 “홍콩 당국의 정직한 정보 공개가 전염확산을 막았다”고 평한 바 있다.

또 에볼라 발병 당시 병원 이름을 비공개했던 미국도 지난해 2명의 메르스 환자 발생 시 즉시 병원 명단을 알렸다.

그러나 보건당국은 이날 발생 병원 등을 공개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재차 확인했다. 중앙메르스대책본부의 권준욱 기획총괄반장은 “의료기관을 위해 기관명 공개를 꺼리는 것이 아니다”라며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들의 불편이나 애로사항 발생을 우려해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5명의 감염환자가 추가로 확인되면서 메르스 환자는 모두 35명이 됐다. 의료진과 3차 감염 환자도 2명씩 늘어 각각 5명이 됐다.

이와함께 의심 환자로 분류돼 병원에 격리돼 있다 숨진 80대 남성이 메르스 감염 ‘최종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로 확인되면 이 남성은 3차 감염자 중 최초의 사망사례가 된다.

격리 관찰자도 1천667명으로 전날보다 303명이 늘었다. 자가격리자가 1천 503명, 기관에 격리된 감염의심자가 164명이다. 격리 기간에 증상이 발현되지 않아 격리가 해제된 인원은 전날보다 10명이 증가한 62명으로 집계됐다.

안영국•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