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명 접촉… 방역관리 곳곳 허점 도내 버스업체 임원 메르스 확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 환자가 15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감염이 확인된 경기지역 한 버스업체 관계자가 고열증상 등이 나타나기 전에 수일간 회사에 출근하고 업무를 봤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보건당국의 방역관리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다.
특히 해당 임원이 입원했던 병원(휴진)에 면회를 갔던 임·직원 10명도 격리 조치되지 않으면서 주민 공포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임·직원 대다수가 버스 운전기사들과 함께 일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31일 보건당국 등에 따르면 도내 한 병원에 입원했던 A운송업체 임원 B씨가 지난 27일 메르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B씨가 입원했던 병원은 현재 휴진 조치됐으며 보건당국은 B씨 역시 첫번째 감염환자에 의해 감염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B씨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기 전인 지난 19일과 21일 이 업체 임·직원 등 10명이 B씨를 근접에서 면회했고, B씨가 21일 퇴원 후 23일까지 결재 등을 이유로 출근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B씨가 고열 증상을 보이면서 병원에 재차 입원한 23일까지 가족을 포함한 주변인 모두가 메르스에 여과없이 노출된 것이다. 해당 버스업체 한 관계자는 “새벽부터 밤까지 하루종일 버스를 운행하는데, 만약 B씨나 B씨를 면회했던 직원을 통해 운전기사들이 감염됐다면 정말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B씨 가족은 “23일에는 결재하러 갔을 뿐 정상근무를 하지 않았다. 23일부터 증세가 나타났는데 잠복기에는 전염이 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면회하신 분들이 감염됐다면 벌써 증상이 나타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한편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메르스 전파력 판단 미흡과 최초 메르스 환자 접촉자 그룹의 일부 누락 등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와 불안을 끼친 점에 대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대국민 사과를 발표했다. 또 보건당국은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초기 대응이 지나치게 허술했다는 비판을 의식, 확진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들 중 고위험 대상자를 별도로 선별해 격리 조치했다.
아울러 잇따른 메르스 확진 판정으로 각급 학교 내 감염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자 교육당국 역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교육부는 학생복지정책관을 반장으로 하는 ‘학생 감염병 대책반’을 구성, 1일부터 가동한다고 밝혔다.
또 경기도교육청도 지난 29일 각급 학교과 산하기관에 ‘메르스 경보발령에 따른 대응대비태세’ 공문을 보내 학교별로 감염자 파악을 지시하는 한편 체험학습·수련활동 등 단체활동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안영국·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