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신입 ‘바늘구멍 취업’ 32.3대 1… 역대최고 수준

올해 청년 취업난이 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인해 대졸 신입사원의 취업 경쟁률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377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5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를 벌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올해 대졸 신입사원의 취업 경쟁률은 평균 32.3 대 1로 나타났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 2013년 28.6 대 1보다 더 높아진 것이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취업경쟁률이 35.7 대 1로 조사돼 6.6 대 1 수준인 중소기업 보다 월등히 높아 취업시장에서의 양극화 현상을 대변했다.

신입사원 100명 지원시 서류전형 합격은 49.2명, 면접전형 대상은 16.0명, 최종합격 인원은 3.1명(2013년에는 3.5명)에 그쳤다.

최종합격자 수를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2013년 3.2명에서 올해 2.8명으로, 중소기업은 16.7명에서 15.2명으로 모두 감소했다. 면접대상 인원은 2013년 11.5명에서 올해 16명으로 증가했다. 기업들이 면접을 중시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음을 방증한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기업이 생각하는 채용과정별 중요도는 면접전형(65.0%), 서류전형(32.0%), 필기전형(3.0%) 순으로 나타났다. 면접전형의 중요도는 2013년 59.9%에서 올해 65.0%로 증가한 반면 서류전형은 34.9%에서 32.0%, 필기전형은 5.2%에서 3.0%로 감소했다.

기업들은 실무면접에서 업무지식(24.8%), 조직적응력(23.4%), 적극성(21.7%) 등을, 임원 면접에서는 조직적응력(25.6%), 적극성(22.4%), 업무지식(19.9%) 등을 중시하고 있다.

또 이번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기업의 68.8%가 스펙을 서류전형 시 최소한의 자격요건으로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 과정 전반의 핵심요소로 활용하는 비율은 7.0%로 2013년 9.5%에 비해 감소했다.

이관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