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증’ 65세 이상 노인에 발병 확률 9배나 높아
콩팥이 제 기능을 못하는 ‘만성신부전증’이 65세 미만보다 이상 노인에게 9배 가량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따라서 고혈압이나 당뇨가 있는 고령의 환자에게 합병증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09∼2013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에 따르면 만성 신부전증(질병코드 N18)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2009년 9만596명에서 2013년 15만850명으로 매년 평균 13.6%씩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65세 이상이 1천402명으로, 65세 미만의 159명보다 8.8배나 높았다. 65세 미만 대비 65세 이상의 배율은 남성이 10.1배로 여성의 8.1배보다 더 컸다.
만성신부전증은 콩팥의 구조적 혹은 기능적 손상으로 인해 콩팥 기능이 3개월 이상 계속 떨어져 있는 질환이다. 주요 발병 원인으로는 당뇨, 고혈압이 지목되며 과도하게 염분을 섭취하거나 소염진통제 같은 약물이나 조영제 등의 검사를 남용했을 때에도 발생한다.
만성신부전증이 악화하면 소변의 양이 줄어들고 빈혈, 전해질 이상, 혈액응고 장애, 혈압 상승, 심혈관 질환, 대사성 골질환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말기로 가면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치료가 불가피해진다.
국민건강보험 관계자는 “고령이 될수록 만성신부전의 주요 유발 질환인 고혈압과 당뇨의 유병 기간이 길어지고 신장 자체도 기능이 약해진다”며 “인구의 고령화가 만성신부전증 환자가 늘어난 주요 원인”이라고 말했다.
박광수기자
사진설명 = 만성 신부전증, 경기일보DB(기사내용과 사진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