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9종세트’ 챙겨도 현실은 ‘이케아세대’?

신조어로 보는 2015 채용시장

사상 최고의 청년 실업률을 기록하며 유달리 얼어붙은 올해 상반기 채용시장을 설명하는 ‘신조어’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은 7일 ‘2015년 채용 시장 신조어’ 7개를 정리해 발표했다.

광명에 입점한 ‘가구 공룡’ 이케아(IKEA)와 합성된 ‘이케아 세대’라는 단어가 눈에 띈다. 실용적이고 세련됐지만 저렴한 가구 브랜드인 이케아에 빗대어 뛰어난 스펙을 갖췄지만 일명 ‘열정 페이’의 낮은 급여를 받으며 일하는 젊은 구직자들의 세태를 반영한 말이다. ‘취업깡패’는 다른 과들보다 취업이 잘되는, 이공계열 출신의 구직자들을 말한다.

최근 주요 기업이 이공계 출신 채용 비율을 높이거나 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대생 중에도 일명 ‘전화기(전자, 화공, 기계)’ 전공자들은 대세로 꼽힌다.

옛날 공룡 등의 흔적이 남은 ‘화석’이란 말도 자주 쓰인다. 극심한 취업난에 졸업을 미루는 ‘NG(No Graduation)족’이 늘면서, 학교를 오래 다니는 고학번 선배들을 비유하는 말이다. 비슷한 의미로 삼엽충, 시조새, 고려청자 등이 있다.

‘5포 세대’는 신조어라고 볼 수조차 없을 정도로 통용되고 있다. 연애와 결혼, 출산, 내 집 마련, 인간관계를 포기한 청년들의 슬픈 자화상이다. 30대이지만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못해 부모님의 노후 자금까지 사용하는 이른바 ‘빨대족’도 있다.

이밖에 현재에 만족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 현실에 좌절한 청년들의 무기력한 모습을 빗댄 ‘달관세대’, 학벌ㆍ학점ㆍ토익ㆍ어학연수ㆍ자격증 등 스펙에 공모전 입상, 인턴경력뿐 아니라 사회봉사와 성형수술까지 합한 ‘취업 9종세트’ 등도 채용시장을 대변하고 있다.

이관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