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공사·UN 아시안하이웨이 국제협력연구 착수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24일부터 2일간 화성시 동탄면 도로교통연구원에서 UN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와 ‘아시안하이웨이(AH) 활성화를 위한 국제협력연구 착수회의’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날 회의는 향후 3년간 진행될 협력연구의 첫 단추로, 유웨이리 UNESCAP 교통국장을 비롯한 UN 관계자들과 박권제 도공 부사장, 최윤택 도공 연구개발(R&D) 본부장, 고승영 서울대 교수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아시안하이웨이는 지난 2005년 UNESCAP 주관 정부간 협정으로 구축된 아시아 지역 국제도로망으로, 현재 남북한 포함 30개국이 가입한 가운데 8개 주요 노선, 14만1천714㎞로 이뤄져 있다. 이 가운데 AH1, AH6 등 2개 노선은 한반도를 출발해 중국, 러시아, 동남아, 중동 등을 거쳐 유럽과 연결된다.

국제협력연구는 도공과 UNESCAP가 기존 아시안하이웨이 설계기준 개선, 도로안전시설의 기술표준 제정,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지능형교통체계 적용 방향 모색 등을 위해 올해부터 2017년까지 3년간 공동 진행하는 연구프로그램이다.

이에 따라 도공은 산하 연구기관인 도로교통연구원의 전문가를 투입, AH1·AH6 노선이 지나가는 북한, 중국, 러시아, 인도, 터키 등 11개국을 중심으로 다음 달부터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조만간 UN 및 AH 회원국들과 공동으로 현지조사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남북분단으로 인해 단절돼 있는 한반도 통과 구간에 대한 다각적인 방안도 논의하게 된다.

AH1 노선의 중심축인 평양~개성 고속도로는 앞으로 남북교류 재개 시 최우선 추진돼야 할 사업으로 남북접경지역을 연결하는 문산~개성 고속도로와 함께 한반도 통일시대를 열어가는 중심역할을 할 것으로 도공은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도공은 올 11월 열리는 ‘제25회 서울세계도로대회’ 기간에 국토교통부, UN과 함께 ‘제6차 아시안하이웨이 실무회의’ 관련 학술행사를 개최, AH 활성화와 한반도 고속도로망 구축을 위한 국제적 관심을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하남=강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