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부실… 2년 연속 취업자 0명 기업, 의무고용률 맞추기 계약직도 문제
안양시가 장애인을 포함해 사회 계층별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취업에 성공한 장애인은 2년 연속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시 일자리센터에 따르면 센터는 구직자 대상별로 이들이 특성에 맞는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원 대상은 △특성화고 △청년층 △중장년층 △준고령층 △여성층 △장애인 등이다.
하지만 정작 사회적 취약 계층으로 분류되는 장애인들의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하기란 ‘낙타가 바늘구멍 통과하기’만큼 어려운 실정이다.
지난해 센터는 7천5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총 11회에 걸쳐 각 대상별 취업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장년층의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수료한 34명 중 22명이 취업에 성공하며 64.7%의 취업률을 보였다. 반면 장애인 취업률은 9명의 수료생 중 단 한명도 취업에 성공하지 못하며 0%에 그쳤다.
특히 지난 2013년에는 11명의 참여인원 중 3명(27.3%)이 취업에 성공하며 장애인 취업지원에 청신호가 켜진 듯했지만 정작 이들 모두 몇개월 만에 입사한 회사로부터 모두 퇴직한 것으로 나타나 사후관리도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장애인 취업률이 바닥을 치는 이유는 청년과 중장년층 등 다른 지원 대상자들과 비교해 이들에게 제공되는 교육횟수도 부족할뿐더러 제공되는 교육내용도 실제 직장생활과는 동떨어진 내용으로 구성됐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해 청년층 및 여성층 등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2~3회 이상 진행된 반면 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은 11월 말이 돼서야 1차례 제공되는데 그쳤다.
교육내용 또한 ‘직업의 세계 이해’ 등 실제 직장생활과 다소 거리가 먼 내용으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장애인을 고용하는 업체 측에서도 장애인 의무 고용비율만 맞추기 위해 급한대로 3개월 계약직으로 채용하는 등 주먹구구식 고용 행태로 장애인들의 지속적인 직장생활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 일자리센터 관계자는 “올해부터는 장애인 채용 선호 업체를 파악하고 인사 담당자들과 수시로 접촉해 장애인을 위한 맞춤면접 및 고용 활성화에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안양=한상근ㆍ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