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일일이 확인 어려워 안성 뒤늦은 방역초소 설치 비난도 市 “경계지역에 초소 확대할 것”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구제역 공포는 방역당국의 못 믿을 백신투여 정책과 늑장대응이 주원인이라는 지적이다.
7일 농림축산식품부 등 방역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우제류(소, 돼지, 사업, 염소 등) 가축 전두수에 대한 백신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해 연 2차례 실시하고 있다.
이중 전업농가(소 사육 50마리 이상, 돼지 사육 1천두 이상)는 지역축협을 통해 50% 지원하고 소규모 농가는 시ㆍ군에서 전액지원하고 있다. 전업농가 농장주가 부담해야 하는 백신 비용은 가축두당 2천원으로 백신접종에 따른 평균 항체 형성률은 소 94~95%이며 돼지는 49%가량이다.
그러나 최근 돼지 구제역이 발생한 용인시의 항체 형성률은 35%(번식돈 75%, 비육돈 32%)였고 이천시는 44%(번식돈 78%, 비육돈 32%)에 불과했다. 평균 항체 형성률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방역당국은 백신접종 시 오염을 줄이고자 주사바늘 1침 당 5마리를 권장하고 있지만 정확한 준수 여부는 확인할 길이 없는 실정이다.
특히 수천마리의 돼지에 대해 일일이 예방접종을 해야 하는 만큼 주사기 하나로 6~10마리 가량을 접종하는 사례도 빈번하다는 것이 농장주들의 증언이다. 이 경우 주사기가 휘어지거나 오염돼 주사 부위에 염증 등이 생기는 등 돼지의 상품가치가 떨어질 수 있어 백신접종에 대한 농민들의 기피현상도 상당하다.
여기에 살처분 보상금 지급기준 요율이 높아 방역의식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국내 구제역 백신은 단 한 종류로 외국으로부터 수입, 적십자 수의약품 등 5개 업체에서 공급하고 있다. 방역당국 관계자가 일일이 백신을 접종할 수 없어 농장주에게 맡기는 상태다.
돼지 1천800여두를 기르는 용인의 한 농장주 A씨는 “돼지 1마리당 백신 접종 소요 시간이 5~6초 정도인데 이를 1~2명이 하기에는 너무나 벅차다”며 “그렇다고 사람을 고용하자니 경제적으로 부담된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한우농가에서의 구제역 발생을 방관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안성시는 구제역과 무관한 미양, 양지, 금산, 개산 등 4곳에 방역초소를 확대설치, 뒷북행정이라는 비난도 사고 있다.
앞서 안성시는 경계지역인 충북 진천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지 12일이 지난 뒤에야 방역초소를 설치하면서 구제역 발생을 수수방관했다는 지적을 받았었다.
이에 대해 안성시 관계자는 “농장 자체에서 가축 백신접종을 해 구제역도 시간이 흘러가면 종식될 줄 알았다”며 “문제가 심각한 경계지역에 초소를 확대 설치해 방역에 심혈을 기울이겠다”라고 해명했다.
박석원 김창학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