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취업시장 동향
국내 기업 인사담당자 10명 중 3명 이상은 올해 신입 채용 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또 인사담당자들은 올해 취업시장 이슈로는 ‘직무적합성’과 ‘소셜 채용’ 등을 꼽았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와 포트폴리오 SNS 서비스 웰던투(Welldone.to)는 국내 기업 인사담당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 작성한 ‘2015년 취업시장 동향’ 보고서를 통해 2015년도 신입 채용 규모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32.9%가 ‘지난해보다 채용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고 6일 밝혔다.
또 응답자의 51.4%는 지난해와 비슷하게 뽑을 것으로 예상했고 ‘2014년보다 신입채용 규모를 많이 뽑을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5.7%에 그쳤다. 올해 신입직 채용 시장이 다소 어두울 것이라고 보는 전망이 우세한 셈이다.
이같은 예상은 대다수 기업 담당자들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낙관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이를 반영하듯 기업 인사담당자 2명 중 1명은 ‘2015년 기업 경영상황이 2014년과 비슷할 것(51.4%)’으로 예측했고, ‘2014년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예상하는 응답자도 32.4%에 달했다. 반면 ‘2014년보다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이는 16.2%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채용시장에서 신입보다 경력직을 더 선호하는 경향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기업에 가장 필요한 인력이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56%가 ‘경력 1~3년차(1년차_19.4%, 3년차_36.6%)’를 꼽은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신입사원을 꼽은 응답자는 18.1% 수준에 그쳤다.
한편, 기업 인사담당자들이 선정한 2015년 취업시장 최대 이슈로는 직무적합성이 꼽혔다.
기업 인사담당자에게 올해 취업시장 핵심 키워드(복수응답)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27.3%가 ‘직무적합성(27.3%)’을 꼽았다. 삼성이 올해 하반기부터 직무적합성을 고려한 채용방식을 도입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 같은 흐름에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는 ‘SNS를 활용한 소셜 채용’과 ‘인성 중심 채용’이 각각 24.1%로 2위를 차지했으며, 비정규직 채용 증가(22.7%)와 서류전형 폐지 등 스펙초월 채용(18.1%), 임금피크제 등 고령화 시대에 대한 대책(18.1%), 경력직 채용 증가(17.6%), 포트폴리오 등 역량 평가 문서 도입(16.7%),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 증가(13.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최창호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 소장은 “올해 취업 트렌드가 ‘직무중심’인 만큼 자신이 희망하는 직무에 중점을 두고 준비를 한다면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박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