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맞춤 인재… 준비된 자만이 기회 잡는다
올해 취업시장은 다양한 변화의 흐름이 나타났다.
삼성그룹이 내년 하반기 신입공채부터 직무적합성 평가와 창의성 면접 등을 추가하는 채용제도 개선안을 발표한 가운데, 다른 기업들도 내년 채용에서 변화의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최근 취업시장의 변화 흐름을 바탕으로 공개한 ‘2015년 취업시장 공략을 위한 구직 전략’을 살펴봤다.
■ 서류전형 결격사유 없도록 자격조건 파악
삼성그룹은 내년 하반기 채용에서 직무적합성 평가를 신설하기로 했다. 인문학은 직무 에세이, 이공계는 이수 전공과목 및 학점을 삼성직무적성검사(SSAT) 응시 전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첫 전형부터 기업의 필수자격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지원할 기회마저 놓치지 않도록 사전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희망직무를 위해 노력한 과정과 열정을 서류에서부터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방식이므로, 지원하려는 직무에서 대체로 어떤 자격조건을 요구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내년 공채시즌 전까지 보완하는 게 중요하다.
■ 기업별 ‘인·적성’ 기출 활용 선대비
올해 채용변화가 두드러졌던 전형은 인적성검사다. 사회 전반적인 인문학 열풍 현상이 채용 평가 기준에도 영향을 미친 것. SK그룹은 채용 시 역사영역, LG그룹은 한국사, 한자문항 등을 추가했다.
국내 많은 대기업이 대체로 인적성검사 전형을 평가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만큼, 내년 추이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업별 인적성검사 모의문제를 풀어보며 다양한 문항 유형에 익숙해지고, 인문학 영역과 같이 단기간에 준비하기 어려운 유형은 미리 대비해야 한다. 에세이 유형이라면 시사 이슈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보는 과정이 도움된다.
■ 소규모 상시채용도 관심
지속되는 불황으로 적시에 필요한 인재를 뽑는 수시채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입 채용임에도 단기 경력이 있는 올드루키나 유사 경력이 있는 실용형 인재를 선호하고, 꼭 필요한 인재만 채용한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목표기업의 공고를 수시로 체크하고, 지원서류를 미리 준비해 인재풀에 등록해놓는 등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취업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