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교육감 후보들 “돈이 없어서…”

대다수 재정난 심각… 선거운동도 못하고 발 동동

6ㆍ4 경기도교육감 선거에 나선 후보 대다수가 심각한 재정난을 겪으면서 법적으로 허용된 범위의 선거운동도 벌이지 못한 채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27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와 각 후보 캠프에 따르면 도교육감 후보들은 공식 선거운동 기간 동안 41억7천만원을 선거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투표자의 10% 이상~15% 미만 득표시 50%를, 15% 이상일 경우 전액을 보전받는다.

그러나 수십억원에 달하는 선거비용을 마련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은데다 일부(4명) 후보자들이 비용 마련을 위해 추진한 펀드조성도 여의치 않으면서 대다수 후보캠프가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다.

A후보의 경우 이날 현재 펀드 목표액의 절반도 조성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후보들은 선거운동 기간 각 읍·면·동별로 1개씩 게시할 수 있는 현수막과 자동 동보통신을 통한 문자발송(예비후보자 기간 포함 5회)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수막을 제작하거나 한꺼번에 대량의 문자를 보내기 위해서는 수천만원대의 비용부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특히 B후보는 아직까지 현수막을 단 한개도 게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비용 문제 등으로 앞으로도 현수막을 설치할지 여부까지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또 컴퓨터 등을 활용한 자동 동보통신 문자의 경우 예비후보 기간을 포함, 총 5회까지 전송 가능하지만 수십만~수백만명에게 한번에 문자를 보낼 경우 수천만원의 비용이 들면서 이 방법을 활용하고 있는 후보도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대신 후보들은 한번에 20개씩 문자를 발송할 수 있는 ‘문자전화기’ 등을 활용해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는 수준에서 자신의 이름을 알리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결국 각 후보 캠프측은 ‘선거혁명’ 또는 ‘돈 안 쓰는 선거’ 등의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좀처럼 확보되지 않는 선거비용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A 후보측 관계자는 “선거비용도 만만치 않을 뿐만 아니라 돈 안 쓰고 깨끗한 선거를 하자는 취지에서 현수막을 아예 게시하지 않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라며 “대신 유권자들과 1대1로 최대한 많이 만날 수 있도록 발로 뛰고 있다”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