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각 부처 및 공공기관, 지난해 비정규직 3만1천명 무기계약직으로 전환

지난해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3만1천명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 것으로 집계됐다.

14일 고용노동부는 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무기계약직) 전환계획에 따라 중앙부처와 자치단체,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교육기관 등 810개 기관에서 모두 3만1천782명이 지난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고용개선 대책을 마련해 오는 2015년까지 6만5천711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25만1천589명의 26.1%다.

지난해 무기계약직 전환 규모를 보면 중앙부처 3천677명, 자치단체 2천756명, 공공기관 5천726명, 지방공기업 1천166명, 교육기관 1만8천457명 등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올해 전환 예정이었던 상시 집배원 1천26명을 지난해 모두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고, 고용노동부도 취업패키지 상담원 355명을 한해 일찍 전환했다.

인천교통공사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용역, 파견근로자를 기간제근로자로 직접 고용했으며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은 환경미화 종사원 등을 무기계약직으로 직접 고용했다.

정부는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지연되지 않도록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격월로 관계부처 회의를 열어 추진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또 무기계약직의 직무특성과 근로자의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직무·보수 체계도 마련하기로 했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