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사에서 수원과 팔달의 미래 100년을…’
수원시는 지난 5일 오전 수원시장, 수원시의장, 지역 국회의원, 도의원, 각급 기관장, 시민 등 1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팔달구 신청사 낙성연을 개최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이날 “정조대왕의 개혁정신이 담겨있는 세계문화유산 화성이 팔달구 신청사가 들어섬으로서 다시 행정의 중심이 되었다”며 “수원시민들에게 최고의 위민행정을 실현하고, 전통시장 등 주변상권이 살아나 구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어, 수원의 심장이 뛰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열린 팔달구청 신청사 낙성연은 1796년 10월 16일 개최된 화성의 낙성연의 의미와 정신을 바탕으로 상하동락과 인인화락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자 평민문화와 궁중문화를 결합시켜 눈길을 끌었다.
신청사 낙성을 천하에 알리는 수원시장의 대북 타고에 이어 사자놀이, 태평무, 경기민요 등 연희로 낙성을 축하했다, 또한 참가자들이 나무기둥에 매달린 10가닥의 천을 민요에 맞춰 춤을 추며 기둥에 감는 단심줄 엮기로 시민의 한마음 단합을 다졌다.
팔달구 신청사는 지난 2012년 11월 수원화성박물관 잔여 부지에 착공, 공사비 256억원을 들여 연면적 1만2천628㎡,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지난달 완공했다.
세계문화유산 화성과의 조화로움을 위해 공심돈의 벽면 디자인을 차용하는 등 화성 성곽을 모티브로 설계한 팔달구청사는 종합민원실, 각 부서 사무실, 회의실 등 업무시설과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북카페, 직장어린이집, 휴게실 등을 갖추고 있어 공공청사 건립에 있어 ‘조화와 효율’의 새 모델을 제시했다.
인근에는 화성박물관, 화성행궁, 화홍문, 수원천 등 세계문화유산 화성 유적이 곳곳에 있어 함께 둘러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팔달시장, 지동시장, 영동시장 등 재래시장이 가까이 있어 전통시장 활성화에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박수철기자 scp@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