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서울대병원 부지’ 활용안 공론화 여론

市, TF팀 구성해 용역발주… 정지권, “6.4 시장후보 공약으로 검증해야”

서울대학교 병원의 무리한 요구로 서울대병원 오산시 유치가 사실상 무산된 가운데 516억여원의 세금이 투입된 부지 활용방안에 대한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오는 6·4 지방선거에 시장으로 출마하는 후보자들이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공약으로 제시해 검증받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25일 오산시와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측이 지난해 연말 병원건립비 3천억원과 연간 300억원의 운영비를 오산시에서 부담하라고 요구해 서울대병원 오산시 유치가 사실상 무산됐다.

또, 시가 종합의료기관 건립을 목적으로 지난 2008년부터 516억여원을 들여 매입한 부지(내삼미동 122 일원 12만3천521㎡)에 대한 매입용도 시효(5년)도 지난해말 종료됐다.

이 부지를 ‘종합의료기관 건립’ 외의 용도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올 연말까지 원 토지소유자들에게 환매해야 하고 이후 도시계획변경을 통해 개발행위를 할 수 있다.

시는 최근 시장을 총괄로 도시계획 전문가, 시민 등 12명으로 T/F팀을 구성하고 부지 활용에 대한 용역을 발주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용역결과를 토대로 시민과 전문가 등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개발계획(안)을 오는 4월까지 확정하고 6월 이후에 도시관리계획을 입안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역 정치권에서는 시의 계획과는 별도로 6·4 지방선거를 통해 서울대병원 부지에 대한 실현 가능한 활용 방안들이 공론화돼야 하고 차기 시장이 구체적인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오산시장 예비후보 등록을 마친 이권재(새누리당) 예비후보는 “서울대병원 유치를 공약했던 지역 국회의원과 현 시장은 부지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고등법원의 유치 등 또 공약을 남발하고 있다”며 “공청회 등 다양한 협의과정을 거쳐 시민합의를 통해 구체적인 부지활용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2008년 5월 서울대병원, 경기도 등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516억여원을 들여 오산시 외삼미동에 부지를 매입하며 서울대 종합의료기관 유치를 추진했었다.

오산=강경구기자 kangk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