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람은 자신의 건강수준에 만족하지는 않지만 실제 건강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LG경제연구원 윤수영 연구위원은 11일 ‘한국인의 건강 인식’ 보고서를 통해 한국사람은 자신의 신체ㆍ정신적 건강 상태에 대해 매우 낮게 평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하우즈 라이프(How’s life?) 2013‘ 보고서에서도 한국 응답자 가운데 자신이 ’매우 건강하다‘ 또는 ’건강하다‘고 답한 이들은 36.8%에 불과했다. 이는 31개국 가운데 일본(30.0%) 다음으로 낮은 30위다.
윤 연구위원은 지난 2004∼2013년 건강ㆍ힐링ㆍ걷기ㆍ유기농 등 50여개 키워드가 포함된 언론기사를 조사한 결과, 이런 키워드를 포함한 기사 수가 연평균 10.7%씩 늘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관심에 비해 한국인의 운동 실천율은 높지 않았다.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1주일 동안 걷기를 포함한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을 실천하지 않은 비율이 53.2%에 달했는데 이 비율은 2009년 이후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윤 연구위원은 “한국 사회의 외모 지상주의는 실제보다 스스로를 더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결과를 낳는다”며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운동의 목적을 건강 증진보다 외모 향상에 두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