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조사, 단순노무- 생산·기능 직무 등 많아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고용 정책 핵심으로 채택했지만, 정작 기업들에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조기 정착을 위해서 기업들의 부담과 우려를 완화할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4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최근 전국 354개 기업을 대상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와 관련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산업현장에서 시간선택직을 이미 채용했거나 채용예정인 기업은 6.8%에 그쳤다. 채용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기업도 10.7%에 불과했다.
이는 정책 실행 초기인 만큼 실제 채용단계의 의사결정을 완료하기까지 시간상으로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기업의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기대 부분도 있다. 기업의 44.6%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산의 취지와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다. 공감도는 중소기업(43.4%)보다는 대기업(47.9%)이, 제조업(38.0%)보다는 비제조업(51.8%)이 높았다.
정책 공감도가 높았던 비제조 대기업의 46.2%는 이미 채용절차에 들어갔거나 채용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을 보고 결정하겠다’며 유보적 뜻을 나타낸 기업도 19.2%다. 앞으로 이들의 결정이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간선택직 채용 결정을 보류한 기업들은 적합직무 부족(33.8%), 업무 연속성 단절로 인한 생산성 저하(28.5%)를 결정적 이유로 들었다. 또한, 기업의 상당수는 정부의 시간선택제 추진에 ‘유·무형의 압력을 느낀다’(29.3%)고 하거나 ‘강압적이진 않으나 눈치가 보인다’(32.4%)고 답했다.
또 기업들이 실제 시간선택직을 채용하면 예상되는 근로자의 전형은 ‘경력 있는 30대 여성으로 1일 6시간 근무, 임금·복지의 별도기준을 적용받는 기간제’ 근로자가 될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는 단순노무(29.1%)가 가장 많았고 생산·기능(20.6%), 관리·사무(18.6%), 안내·상담(10.9%) 등으로 다양했다.
기업들은 앞으로 노동시장 내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인력활용의 유연성 제고(26.6%)가 가장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재정적 지원(22.7%)과 양질의 구직자 풀 형성(16.4%) 등을 주된 과제로 꼽았다.
경총 관계자는 “많은 기업이 시간선택제 채용을 주저하고 있는데 이는 시간제에 적합한 직무개발이 시급하고 동시에 생산성 저하에 대한 기업의 우려를 완화할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