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하남캠퍼스 이미 물거품 된 지 오래?

중앙대 하남캠퍼스, 양해각서 파기 수개월 ‘쉬쉬’

市-중앙대 ‘비밀유지 단서’ 시의회 행감서 드러나

주민 알권리 외면 비난에… 市 “새로운 사업 추진”

하남시 옛 미군공여지 ‘캠프콜번’ 부지(28만2천㎡)에 조성하려던 중앙대 글로벌 하남캠퍼스의 양해각서(MOU)가 하남시와 중앙대의 합의로 지난 3월 파기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특히 이 과정에서 하남시와 중앙대 등 두 기관은 ‘비밀로 유지한다’는 단서조항을 달아 수개월간 파기사실을 숨겨와 주민의 알권리를 외면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28일 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경기도와 시, 중앙대 등은 하산곡동 123 옛 ‘캠프콜번’ 부지에 대학을 유치하기 위해 지난 2007년 11월 하남시청에서 김문수 경기지사와 김황식 시장(당시), 박범훈 중앙대 총장(당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대 글로벌 하남캠퍼스 조성’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하지만 추진과정에서 캠퍼스 건립에 따른 재원조달 방법과 규모 축소 등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지난 3월 양측 합의에 의해 최종적으로 협약이 파기됐다.

이에 앞서 이교범 시장은 지난해 11월께 경기도에 ‘반환공여지 활용에 대한 의견조회’ 공문을 보낸 데 이어 시의회 시정 답변에서 대체사업 추진계획을 밝혀 캠퍼스 유치 사업 백지화 수순을 사실상 밟아왔다.

특히 이같은 파기합의 사실은 최근 끝난 시의회의 집행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뒤늦게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두 기관은 파기합의 사실이 외부에 알려질 경우 비밀을 유지하지 못한 쪽에서 모든 책임을 지도록 한 것으로 알려져 법적효력도 없는 양해각서를 놓고 과잉대응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이에 시의회는 감사 결과보고서 채택을 통해 “중앙대 유치 추진 결과(파기 합의서)를 시민들에게 정확히 공개하고 반환공여지 활용계획을 조속히 수립해 추진할 것”을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백지화 논의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해 지난 3월 최종 합의문을 작성했다”며 “시는 이 부지에 사업자 공모를 통해 새로운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대체사업으로 일자리 창출을 가져올 수 있는 첨단산업단지, 연구소, 유통단지 등 다양한 분야가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