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창출 대부분 국·도비 지원 공공근로… 말뿐인 ‘양질 취업’ 원성
용인시가 고용창출을 위해 5개년 종합계획을 세웠지만 창출되는 일자리 대부분이 국·도비 지원에 따른 공공근로로 ‘말뿐인 일자리 대책’이란 비난을 사고 있다.
5일 용인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 동안 1천억원을 투입, 총 3만7천524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일자리 공시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해 9천418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당초 목표(8천426개) 대비 112%를 달성했고 올해는 170억원을 투입해 8천466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방침이다.
그러나 시가 지난해 창출한 일자리와 올해 만들 예정인 일자리 대부분이 국·도비를 지원받아 시행하는 공공근로 관련 일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창출된 취약계층 일자리 2천807개, 공공부문 일자리 1천499개 등 전체의 45%인 4천306개 일자리가 공공근로사업에 따른 것 이었으며 청소용역 등 시가 관계 기관에 위탁처리 하면서 발생한 일자리도 751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는 올해 8천466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방침이지만, 이마저도 전체의 51%인 4천346개가 공공근로사업을 통해 만들어질 예정이다. 나머지 일자리도 노인일자리 1천296개, 공공근로 1천100개 등 정해진 시간 동안 일하고 일당을 받는 사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양질의 일자리와는 거리가 먼 실정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공근로사업이 양질의 일자리는 아니지만, 취약계층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지난해 신규공장 95개와 물류창고 86개를 유치해 3천165개의 일자리를 만든 것은 수치에서 빠졌다”고 말했다.
용인=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