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항 증심·물동량↑ 조직적 대응을” 인천항만청 ‘인천항 발전 위한 정책포럼’

화물별 유치 전략 마련을 물류비 절감 대책도 필요

인천지역 항만 민간전문가들이 인천 신항 증심 준설과 물동량 증대를 위해 계획조직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인천지방해양항만청은 29일 인천항과 관련된 개발 및 환경 등 4개 분야 민간전문가 21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3년 제1회 인천항 발전을 위한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새 정부 출범 및 해양수산부 부활 등 인천항을 둘러싼 여건 변화에 선제로 대응하고자 열린 이날 정책포럼은 ‘2013년도 인천지방해양항만청 주요업무 추진계획’과 함께 인천항의 일반화물 물동량 감소문제 해결 등이 주요 의제로 논의됐다.

이날 인천대 김홍섭 교수 등 학·업계 민간전문가들은 ‘신항 증심 준설’과 관련, “정부가 인천 신항 증심 준설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예산(10억 원)을 지원했지만, 아직 증심 준설이 확정됐다고 볼 수 없다”며 “국토해양부는 물론 예산을 담당하는 기획예산처 등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의를 통한 목적 달성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또 전문가들은 인천항 물동량 증대 방안으로 “지난해 모래와 시멘트 등 일반화물은 줄고, 중고 자동차와 같은 특정 화물이 증가했는데도 화물 유치를 차별화하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화물별 특성에 맞는 유치 전략 수립과 물류비 절감 대책 마련을 통한 화주 및 화물 유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수곤 인천지방해양항만청장은 이날 “이번 포럼에서 제시된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2013년 인천지방해양항만청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보완하고 ‘인천항 일반화물 물동량 증대방안’을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