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조사원 부산행 이어 선박안전기술공단도 세종시로 항만업계, 지역경제 중요성 고려 자구책 마련 ‘한목소리’
인천에 있는 해양 관련기관들이 잇따라 다른 지역으로 이전을 추진하자 항만업계가 이대로는 안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다.
20일 항만업계에 따르면 국립해양조사원은 지난 2005년 발표된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 이전 방침에 따라 26년간 머물던 인천을 떠나 지난달 부산혁신도시 동삼지구로 이전을 완료했다.
수십 년간 머물던 지역에서 소리소문없이 이전을 감행한 해양조사원은 1949년 창설돼 우리나라의 영해, 배타적경제수역(EEZ) 해역 전반에 대한 해양조사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또 국제 해도에 ‘동해(East Sea)’ 표기를 확산토록 하는 국내 주무기관이기도 하다.
지방 이전 대상 기관이 아닌데도 자발적으로 인천을 떠나는 기관도 있다.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본부를 둔 선박안전기술공단은 2014년까지 세종시로 이전할 예정이다.
국토해양부 산하의 선박안전기술공단은 선박의 항해와 관련한 안전을 확보하고 선박 및 선박 시설에 관한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특수법인으로 현재 250여 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공단은 국토해양부가 지난달 세종시로 이전하자 이전 계획을 확정했다.
이와 함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는 지난해 부산 정치권이 해양과학기술원의 2015년 부산 이전에 맞춰 부산으로 이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국토해양부가 이전 계획이 없다고 밝힌 뒤 현재는 논란이 잠잠해진 상태다.
이처럼 해양 관련기관들의 탈인천이 가시화되자 인천항만업계를 주축으로 자구책 마련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천항만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천항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중요성을 고려해서라도 해양기관의 이탈을 막아야 한다”며 “해양부 인천 유치 역시 가능성이 낮더라도 반복적으로 요구하면 다른 반대급부를 얻을 수 있는데도 지역 정치권과 인천시가 침묵으로 일관해 안타까울 뿐”이라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