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인터뷰]곽상욱 오산시장 "혁신학교 성공적 정착에 최선"

“혁신교육의 성공적 롤 모델 정착 시키겠습니다.”

평균연령 30.7세로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 오산시가 우리나라 혁신교육 롤 모델 도시로 주목 받고 있다. 배움과 가르침에 즐거움이 있는 혁신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 올해도 오산시는 혁신교육 정착에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또한 시민과 소통하고 시민의 입장에서 시정을 운영한 성과를 인정받은 곽상욱 오산시장은 지난해 시민중심경영 부문에서 대한민국 CEO 리더십 대상을 받았다.

곽 시장은 올해도 시민참여 행정과 열린 행정을 통해 모든 시민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어 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전국 최고의 교육도시를 꿈꾸는 오산시의 올 한해 시정의 청사진을 곽 시장에게서 들어봤다.

▲지난해 이뤄낸 성과는.

지난해에는 민선 5기 출범 당시 시민과 약속한 공약사항 이행을 위해 시민과 소통하고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열린 행정을 펼쳤다. 많은 변화와 혁신으로 행복 오산 만들기에 행정력을 집중한 결과 ‘혁신교육도시로서의 성공적 입지 구축’,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으로 아이 키우기 좋은 오산 실현’, ‘오산역 환승 센터 건립 추진’, ‘뷰티-코스메틱 도시로의 기반구축과 뷰티축제를 통한 산업형 축제 기틀 마련’, ‘오산문화재단 출범과 문화공장-오산(미술관) 개관’, ‘오산천 수질개선과 생태하천 복원 추진’, ‘특성화 사업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등의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교육부문 ‘국가 경쟁력 대상’, 자치단체장 공약이행 평가 ‘최우수’ 등급, 국가권익위원회 지방자치단체 청렴도 평가 ‘전국 2위’, 청소년 정책 평가 ‘최우수’, 여성정책 종합평가 ‘최우수’ 등 각종 정책 추진평가 20개 부문에서 수상을 거둔 의미있는 한 해 였다고 생각한다.

▲혁신교육도시 지정 후 성과는.

오산시가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혁신교육도시로 지정 된 지 2년이 지났다. 그동안 오산시는 교육 인프라 부족으로 교육 때문에 오산을 떠나는 안타까운 현실이 있었으나 이제는 타 지자체에서 오산시로 혁신교육 벤치마킹을 위해 찾아 오고 있어 우리 시 혁신교육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확신이 든다.

지난해 도교육청 혁신교육지구 평가에서 오산시는 학부모스터디를 통한 범시민적 학습 분위기 조성과 혁신교육지원센터 운영, 지역특화 혁신교육 사업인 ‘학부모스터디’, ‘시민참여학교’, ‘꿈 찾기 멘토스쿨’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21만 오산시민 모두가 혁신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과 성원이 있기에 가능했다.

공교육 혁신 브랜드인 시 지정 물향기 학교 4개교, 도교육청 지정 혁신학교 3개교 등에서 혁신교육 롤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또한 사업공모, 평가를 통해 30개 학교에게 혁신 프로그램을 집중 지원한 결과 공교육 혁신의 기본인 ‘배움과 가르침에 즐거움’이 있는 혁신교육도시 오산의 기반이 다져지고 있다.

올해는 오산의 혁신교육이 더욱 정착되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한 차원 높은 교육정책을 완성해 나아갈 계획이다.

▲올해의 중점시책과 역점 사업은.

올해는 민선 5기 2년 반 동안 추진해온 각종 시책을 마무리하고 미진한 부문은 더욱 내실있게 다져 가도록 하겠다. 역점 사업으로 7개 과제를 선정해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7개 역점사업은 ‘혁신교육 가속화로 전국 최고의 교육도시 실현’, ‘중앙전통시장 활성화로 경쟁력을 갖춘 전통시장 만들기’, ‘k-pop 스튜디오, 국제아카데미 건립을 통한 한류문화의 메카 조성’, ‘오산역 환승 센터 구축으로 대중교통 이용 편의 확대’, ‘재개발·재건축·참마을 가꾸기 사업으로 창조적 도심개발’, ‘아름다운 오산천 가꾸기로 자연생태하천 조성’, ‘서울대학교 병원 유치를 통한 오산 종합의료기관 건립’ 등이며 이를 시행하는데 차질없이 추진하겠다.

또한, 혁신교육사업, 출산·보육 사업, 뷰티-코스메틱 벨리 조성 등에서 성공적인 성과가 이뤄지도록 매진토록 할 계획이다.

한편, SM스튜디오 조성, 서울대병원 유치 등 미진사업에 대해서는 사업추진 TF팀을 결성해 추진상황 점검에 만전을 기해 좋은 결과를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오산=강경구기자 kangk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