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연구사업, 강남대에 몰아주기 의혹

용역비 2천만원 이하로 낮춰 수의계약… 연구용역 부실 우려

용인시가 통상 1억여원에 달하는 연구사업을 수의계약이 가능한 2천만원 이하로 낮춰 특정 대학에 의도적으로 몰아주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9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1월 31일까지 3개월간 1천880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용인미래발전전략’ 연구용역을 발주, 강남대 산학협력단과 수의계약 했다.

강남대와 수의계약한 연구는 지난 2006년 시가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발주해 수립한 2020 중장기 계획이 6년 가량 경과된 데 따른 변경사항을 적용하고 민선 5기 시정 방침을 반영하기 위해 추진된 정책연구사업이다.

그러나 시 출연기관인 용인발전연구센터에서 그동안 시정 관련 기본연구과 정책연구를 맡겨온 관행을 깨고 중장기 시정계획을 수정하는데 예산편성도 안된 상황에서 지난해 9월 수의계약으로 강남대 산학협력단에 의도적으로 사업을 몰아준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중장기 시정계획을 면밀히 재구성하거나 수정하는 연구에는 통상 1억원 이상의 용역비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수박 겉핥기식’ 연구란 비난마저 일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3월 추진된 ‘용인시 지역정보화 기본계획’ 연구용역도 향후 5년간 시의 정보화 추진사업에 대한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사업으로 통상 8천만원에서 1억원 정도의 사업비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시는 이 사업도 1천600여만원에 강남대 산학협력단에 맡겨, 부실 연구란 지적과 함께 의도적으로 사업비를 낮춰 수의계약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미연 시의원(새)은 “시가 수억원을 출연한 용인발전연구센터를 운영하면서도 정책관련 연구을 수행하는데 별도의 예산을 투입해 타 기관에 연구를 맡기는 것은 명백한 이중 지출”이라며 “특정 대학에만 연구용역을 몰아준 것은 충분히 의심을 살 만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각 부서의 정책적 판단에 따라 연구를 맡긴 것이지, 의도적으로 강남대 산학협력단에 사업을 몰아주려 한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용인=강한수·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