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경, 북한의 느닷없는 연평도 포격으로 인해 우리 해병장병 故 서정우 하사, 故 문광욱 일병은 그 꿈을 채 펼치기도 전에 조국을 위해 꽃다운 목숨을 바쳐야 했고, 16명의 병사들은 치열한 전투의 결과로 부상을 당해야 했다. 민간인 2명은 아무런 잘못 없이 희생되어야 했고, 연평도 주민들은 오랫동안 살아온 삶의 터전을 뒤로 하고 떠나야만 했다. 평화롭기만 하던 마을 곳곳에 불길이 타올랐고, 포탄을 맞은 집들은 검게 그을린 채 허물어져 군데군데 집터만이 남았다.
여느 때와 다름없이 일상적인 생업에 종사하고 있던 국민들은 갑작스런 소식에 충격을 받아 공포에 떨었고, 이는 당시 일시적으로나마 온 국민이 가졌던 감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불과 몇 개월 전 천안함 피격 사건에 이어 6ㆍ25전후 최초로 대한민국 영토에 대한 북한의 도발이 감행된 것에, 온 국민은 안이했던 안보의식에 경각심을 가지고 다시는 이러한 일이 없도록 단호히 대응하고, 철저히 대비하자는 각오를 잠시나마 떠올렸다.
그러나 시간은 흘러 연평도는 제 모습을 찾아가고, 평온한 시절이 계속됨에 따라 그날에 대한 우리의 기억도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지구상 최후의 분단국으로 정전 상태에 놓여있는 우리의 현실을 분명하게 깨닫게 한 계기가 되었음에도 연평도 사건의 교훈과 장병들의 희생이 조금씩 우리들의 뇌리에서 잊혀져 가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주인된 권리를 빼앗긴 일제 강점기, 같은 민족을 향해 총부리를 겨눠야했던 6ㆍ25전쟁, 전후에도 끊임없는 북한의 도발로 불안한 안보 상황에 놓여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는 이를 그다지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지속되는 불안감이 만성화되어 버린 탓일까, 아니면 전쟁의 폐허를 딛고 이룬 사회ㆍ경제적 성과에 취해 이런 불편한 기억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 자신하는 탓일까.
그러나 진정으로 성숙한 사회, 발전 가능한 사회는 지난 역사의 상처를 잊지 않고 기억하며, 아픔이 주는 교훈을 통해 더 강한, 더 발전된 미래로 나아가고자 하는 사회이다.
지금 우리가 누리는 평화는 나라를 지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 분들이나, 지금 이 시간에도 국토 방위와 사회 안전의 최일선에서 나라를 지키고 있는 분들의 헌신 위에 놓여 있다.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자신과 가족의 안녕을 기꺼이 포기하고 공동체를 위하는 마음을 우선하여 살신성인한 분들의 희생정신과 나라사랑정신이 바탕이 되어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자유와 번영을 누리고 있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나라를 위한 희생과 헌신을 온 국민이 기리고 그 숭고한 뜻을 이어가는 것, 나아가 내 조국, 대한민국을 자랑스러이 여기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더 발전된 내일을 구상하고 이를 후손에게 물려주는 것이 바로 국가보훈이다.
이러한 국가보훈의식을 통해 우리 사회는 더욱 밝고 튼튼해지고, 대한민국의 위상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11월 23일 오늘은 연평도 포격 도발 2주기가 되는 날이다. 소소한 일상을 즐기며 살아가는 일 년 중에 이날 하루만큼은 연평도 포격 도발로 인해 전사한 해병장병들을 추모하고, 나라를 위해 희생ㆍ헌신하셨던 분들의 고귀한 희생정신과 애국심을 되새겨보도록 함이 어떨까.
최 완 근 서울지방보훈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