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公, 여객터미널 설계 등 6건 용역 점검 당초 계약과 다르게 임의로 용역 추가해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추진 중인 4조원대 인천공항 3단계 확장사업이 사업 초기인 설계 단계부터 잡음을 내고 있다.
7일 공항공사에 따르면 내년부터 제2 여객터미널과 여객·화물계류장, 화물터미널 등을 건설하는 3단계 확장사업을 추진, 현재 첫 걸음으로 450억원대 여객터미널 설계 등 6건의 용역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공항공사가 자체적으로 용역사업에 대해 실태 점검을 벌인 결과 제2 여객터미널 설계용역 중 애초 계약과 다르게 현장에서 용역이 임의로 추가된 것으로 드러났다.
공항공사는 용역업체에 제2 여객터미널이 들어설 부지에 대해 지질조사를 추가하면서 사전에 계약변경이나 내부방침 등도 전혀 이뤄지지 않았고, 1천만원의 기성금까지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백억원대 용역을 발주하면서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PQ)나 입찰적격자 선정, 기술제안서평가심사(TP) 등을 맡을 평가위원회도 외부 평가위원이 단 1명도 참여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평가위원회는 통상 투명·전문·공정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대학교수나 지자체 공무원 등 다양한 외부 평가위원이 포함된 인력풀을 구성해 운영된다.
게다가 평가위원회는 회의록도 전자입찰시스템 등에 전혀 공개하지 않는 등 밀실위원회로 꾸려져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토목·터미널 등 설계용역과 사업관리용역의 발주시기가 달라 현재까지 사업관리 용역이 진행되지 않는 등 설계와 관리부분의 일정이 맞지 않아 삐걱대고 있다.
또 오는 2017년까지 4조원대 사업비가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인데도 사업부서엔 시기 및 분야별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줄이는 자체 감사기능이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대해 공항공사 관계자는 “막대한 사업비가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부실 설계·시공으로 인한 예산낭비를 막기 위해 사업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점검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주기적으로 실태 점검을 벌여 혹시 발생할지 모를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