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일본, 잘못된 역사 대물림하는 우를 경계해야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이었다. 독도의 날 지정은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널리 알리고 강력한 독도 수호의 날을 세계 각국에 드러내기 위하여 제정하였다. 그러나 최근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땅이라고 주장하는 터무니없는 신문광고를 통해 도발을 자행하고 있는 사실을 접하고 필자는 경기도청에 근무할 당시 일본 가나까와현과 자매결연 사업을 추진한 실무담당자로서 아연실색하였다.

일본정부와 극우 정치인들이 강경한 발언을 쏟아내는 시점에 소수 일본의 지식인들이 한일 영토분쟁에 대한 소신있는 의견을 내 관심을 끌고 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오에 겐자부로와 ‘평화헌법’개정 반대 소신을 밝혀온 모토시마 히토시 전 나가사끼 시장 등 일본 지식인·시민 1천270명과 시민단체 ‘허용하지 말라! 헌법개악 시민연락회’가 9월 28일 독도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야오)영토 분쟁에 대해 일본의 자성을 촉구하는 호소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일본은 한국·중국이 가장 약하고 외교적 자기 주장을 할 수 없을 때 독도와 센카쿠 열도를 편입했다”며 “일본은 독도가 한국 국민에게 침략과 식민지 지배의 시작이고 상징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의 대표적 지성으로 불리는 무라카미 하루키도 이날 아사히신문에 보낸 에세이에서 “영토갈등을 둘러싼 광적인 반응은 취기 오른 행동을 닮았다”고 말하고 특히 “영토문제가 실무과제임을 넘어 ‘국민감정’의 영역에 발을 디디면 그것은 ‘출구없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자국 지성인들의 이와같은 자성의 목소리에도 노다 요시히코 일본총리는 “다케시마(일본이 독도를 가리켜 부르는 말)는 역사상, 국제법상 우리나라의 고유영토지만 한국이 실효지배하고 있다”고 주장해 우리 국민들의 공분을 샀다.

비슷한 역사를 밟아온 독일은 전후 역사 처리와 보상에 있어서 일본과의 매우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독일이 나치의 만행을 교과서에 실어야 하느냐 마느냐를 두고 독일에서 뜨거운 논쟁이 있었을 당시 아데나워 총리는 “지금 게재하지 못하면 영원히 하지 못하고 그렇게 되면 잘못된 역사를 후세가 잘 모르게 된다”라고 결론짓고 교과서에 반영하게 되었다. 독일의 후세들이 조상의 잘못으로부터 해방되고 평화를 지향하는 번영된 독일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은 선대의 이러한 노력 덕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정부와 정치인들이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과거의 침략사와 만행은 세월이 흐른다고 없어지지 않는다. 일본정부와 정치인들이 이러한 교훈을 잘 받아들여 후세들이 잘못된 역사에 갇혀 고통을 받지 않도록 노력해주기길 기대한다.

우리 역시 독도문제를 감정적으로 대할 것이 아니라 정확한 역사학적 자료를 공유하고 적극적인 홍보로 일본의 터무니없는 제국주의 야욕에 대응해야 한다. 또한 역사교육을 강화해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을 수 있는 시야를 넓혀야 한다.

얼마 전 뉴욕에서 열린 한 행사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김용 세계은행 총재가 나란히 단상에 오르자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사람들이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고 조크를 했다고 한다. 조크긴 하지만 그 말처럼 우리의 국제적 지위는 많이 높아졌다. 무디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 피치 등 세계 신용평가사가 차례로 한국의 신용등급을 올렸고, IMF시 형편없었던 우리의 평가는 일본과 어깨를 겨룰만큼 상향되었다.

역사가 반복되지 않으라는 법이 없다. 102년 전(한일합방), 62년전(6·25)의 역사적인 사실을 우리 국민 모두는 잊지말고 높아진 위상만큼 정신 똑바로 차려야 할 것이다.

권 두 현 전 경기도 행정부지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