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기업·학교 한곳도 없어
정부가 인재 양성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시행하는 ‘기술사관 육성사업’에 인천지역 내 대학과 고등학교의 참여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천 학계에서조차 이 같은 사업을 모르거나 관심이 부족해 학생들의 특성을 살린 특화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23일 인천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정부가 지원하는 기술사관육성 사업단으로 선정된 인천지역 전문대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는 단 한 곳도 없다.
전국에서는 18개 전문대학교와 38개 특성화 고등학교가 선정돼 운영되고 있다.
이 사업은 참여기업·학생·학교 모두가 상생하는 제도로 참여기업은 당해 기업에서 요구하는 기술을 5년간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우수인력을 확보할 수 있고, 학생은 전문학사 취득 및 우수기업 취업 보장, 학교는 산업체가 요구하는 우수인력을 양성·공급한다.
특히 5년 교육과정을 수료한 졸업생을 채용한 참여기업은 병역특례업체로 우선 선정되고, 학생은 산업기능요원으로 우선 편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인천지역은 지금까지 기술사관 육성사업단으로 선정된 기업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기술사관육성 사업단으로 선정돼 학생들이 교육을 받게 되면 이는 취업률로 산정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 각 학교가 학생들의 특기를 살리기보다는 취업률을 높이는 방안만 강구, 사업을 회피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기술사관 육성사업이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학교들이 이 제도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