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중국 교역의 1/4를 담당하는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을 대중국 교역의 교두보로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상공회의소(회장 김광식)는 ‘한중수교 20주년’을 맞아 인천지역 대중국 교역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최근 5년간 한국의 대중국 교역의 48.8%가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이뤄지는 등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의 대중국 교역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조사결과 인천항의 대중국 교역액은 1992년 14억달러에서 2011년 548억달러로 39.1배 증가했으며, 인천항 전체 교역액 중 중국의 비중이 5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년간 한국의 대중국 교역 중 평균 21.1%가 인천항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최근 인천항을 통한 대중국 교역이 대한민국 전체의 1/4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국 항만의 대중국 컨테이너 물량 중 평균 14.4%가 인천을 통해 처리됐으며, 2006년 이후에는 대중국 컨테이너 교역물량 중 20.9%가 인천항을 통해 처리됐다.
인천국제공항의 대중국 교역액은 개항 첫해인 2001년 28억달러에서 2011년 225억달러로 8.0배 증가했고, 2001년 4.8%에 불과했던 인천국제공항 전체 교역액은 2011년 23.3%를 차지하는 등 대중국 교역액이 빠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상의는 이 보고서를 통해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이 대중국 교역의 교두보로 집중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인천 신항의 경우 항로 및 부두 수심을 최소 16m 이상으로 증심 준설해 중국을 경유한 미주·유럽의 원양 노선 및 대형화물선박(8천TEU급) 유치에 나섬은 물론 인천국제공항 역시 최근 김포공항으로 베이징 노선 일부를 전환하는 정책을 중단하고 국제노선을 집중배치, 환승객 및 화물 활용도를 높여 동북아 허브공항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