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 연간 6억~8억원 들어 정부지원 호소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건립한 서해 5도 신축 대피소의 유지관리비가 연간 수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관할 자치단체가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11일 옹진군에 따르면 국비 444억원과 시·군비 86억원 등 총 530억원을 들여 연평도 7개, 백령도 26개, 대·소청도 9개 등 서해 5도에 42개의 주민 대피소가 건설됐거나 현재 건설 중이다.
이들 대피소는 화장실, 주방, 방송실, 냉·난방 시설, 비상 발전시설 등을 갖춰 장기간 지내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설계됐다.
비상급수시설과 응급진료실도 갖춰 주민들이 한 번에 최장 4일치의 식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부상자 발생 시 응급 처치도 가능한 최신식 대피소로 알려졌다.
시설이 좋아진 만큼 유지·관리비가 많이 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재정자립도가 20%에 그치는 옹진군으로서는 비용 증가에 따른 부담감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기존 대피시설은 연간 유지·관리비가 5천만원에 불과했지만, 신축 대피시설은 연간 6억~8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군은 일단 자체 예산으로 6억9천만원의 유지·관리비를 편성해 놓은 상태다. 행정안전부와 소방방재청에 전액 국비지원을 요청했지만, 지원 규모는 정해지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고정적으로 수억원이 들어가기 때문에 옹진군으로서는 엄청나게 부담되고 있다”며 “서해 5도 특별법에 따라 관련 예산의 80%는 정부가 지원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