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급유시설·면세점 민영화 ‘몸살’

공항공사 노조 “급유시설 민영화는 인천공항 지분매각과 마찬가지”

면세사업 민영화땐 국산품 판매율 하락·재벌기업 과독점 폐해도 우려

인천국제공항이 지분 매각을 비롯해 급유시설과 면세점 등 잇따른 민영화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11일 공항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후 제8차 이사회를 열고 인천공항에서 항공유를 독점으로 보관·급유하는 급유시설을 운영하는 인천국제공항급유시설㈜의 인수 및 운영방식에 대해 논의, 오후 7시 현재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이사회는 지난 10일에도 4시간여 동안 인천국제공항급유시설㈜의 인수 문제 등을 논의했지만, 정부가 급유시설 매각과 운영권을 민간에게 넘기라고 지침을 내리는 것에 대한 절차적 문제 등에 대해 설전이 오가며 결론을 내지 못했다.

앞서 정부는 오는 8월 말 민자사업 기간이 끝나 국가로 귀속되는 인천국제공항급유시설㈜을 공항공사에 매각한 뒤 공항공사로 하여금 운영권을 다시 새 민간사업자에게 넘기려는 방침을 세워 공항공사에 권고해 왔다.

인천국제공항급유시설㈜의 감정가격은 영업권 1천368억원을 포함해 총 1천985억원이다.

공항공사 노조 측은 “정부가 급유시설을 직영하면 훨씬 많은 수입을 얻을 수 있는데도 굳이 알짜배기 기업을 민영화하려 한다”면서 “2천억원이라는 거액을 들여 급유시설을 인수한 뒤 다시 민간사업자를 선정하려는 것은 인천공항을 편법으로 분할 매각하는 민영화와 다름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천공항 내 면세점도 민영화 논란에 휩싸였다.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 방침에 따라 한국관광공사가 면세점 사업을 포기, 이달 중 인천공항 내 관광공사의 면세점에 대한 국제입찰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면세점이 모두 민영화되면 현재 전체 면세시장의 9%에 그친 국산품 판매비율(외제품 91%)은 더욱 떨이는 등 국산품 홀대 현상이 극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마저 일고 있다.

오현재 관광공사 노조위원장은 “면세사업이 모두 민영화되면 외산물품 구입 대금 등 국부 유출로 이어지고, 공적 목표를 위한 특혜가 소수 경제적 강자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면세사업의 국내 재벌기업의 과독점 폐해가 더욱 극심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