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행복지수가 32위인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하는 학술지 ‘보건사회연구’에 실린 ‘OECD국가 삶의 질 구조에 관한 연구’(이내찬 한성대 교수) 논문에 따르면 OECD 34개 국가에 대해 삶의 질과 연관된 19개 지표의 가중 합계인 행복지수를 구해 비교한 결과, 한국은 10점 만점에 4.20으로 32위로 나타났다.
상위 5위 안에 든 국가는 덴마크 8.09점, 오스트레일리아 8.07점, 노르웨이 7.87점, 오스트리아 7.76점, 아이슬란드 7.73점 등이었다.
세부 지표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환경·생태)유지 가능성과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접촉빈도 등이 반영된 사회네트워크 안정성 부문에서 최하위인 34위를 기록했다.
주관적 건강상태(32위), 필수시설을 못 갖춘 가구 비율(31위), 소수그룹에 대한 관대성(28위), 빈곤율(28위), 가처분소득(27위), 살해율(26위), 국가기관 신뢰도(26위), 1인당 방 수(25위), 고용률(21위), 소득분배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21위) 등도 모두 하위권을 면치 못했다.
‘행복지수’를 구성하는 19개 세부 지표에는 OECD가 지난해 회원국들의 '보다 나은 삶 지수(BLI)' 산출에 사용한 1인당 방 수, 가처분 소득, 고용율, 살해율, 상해율, 사회네트워크 안정성 등 12개 지표에 경제적 안정, 정부에 대한 신뢰, 외부인에 대한 관용, 성차별 등 '사회자본' 관련 지표와 지니계수, 빈곤율 등 부(富)의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표, 자연 환경적 지속가능성 지표가 추가된 것이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의 행복지수 순위는 최하위권(32위)일 뿐 아니라, OECD의 BLI에 사용된 지표들을 단순 가중 계산했을 경우의 순위(22위)보다 더 낮다”며 “국민이 만족스런 삶을 영위하려면 충분한 소득을 얻는 것이나 안정된 고용도 중요하지만 이 과정에서 부의 편중이나 극빈자 수를 줄이기 위한 고민도 병행돼야 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행복지수 순위를 접한 누리꾼들은 “한국 행복지수 32위이라니 말도 안 돼”, “한국 행복지수 최하위. 이유가 뭘까?”, “빈부격차 심한 한국, 행복지수 32위 이해간다”, “아무리 행복하지 않아도 32위는 놀랍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홍지예기자 jyho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