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의 땅’은 옛말, 인천서 건설사 떼죽음

경기 침체·市 재정난 겹쳐…관급공사 발주 금액 2년새 ‘3분의 1 토막’ 부도 잇따라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 붐 등으로 전국의 건설회사들이 몰려들었던 인천 건설시장이 건설사들의 무덤으로 전락하고 있다.

20일 인천시와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수년간 건설 경기 침체와 인천시의 재정난 등으로 지역 개발 사업이 부진하면서 대형 건설사의 부도가 잇따르는 등 업계 전반이 고사 위기를 맞고 있다.

올해 인천지역 관급 공사 발주 계획 금액은 2조2천317억원으로 2년 전인 2010년 6조4천196억원(SPC 공사 분야 포함)보다 1/3 토막이 났다.

특히 한계 상황에 부딪힌 인천시의 재정난이 해소되지 않으면 발주 계획공사마저 연기 되거나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지역 건설 경기가 추락하면서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 특수를 노리고 인천으로 본사를 옮긴 10여 개 대형 건설사 중 4개사가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절차를 밟고 있다.

특히 총 매출 대비 관급 공사 수주 매출 비중이 80~90%를 차지하는 지역 토종 대표 건설사들도 수주난에 따른 경영 악화 일로를 치닫고 있다.

인천지역 260개 종합건설 업체 가운데 대형 턴키공사에 지역업체 지분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업체는 10개 남짓 밖에 안 되고, 나머지 건설사들은 경쟁률 수백 대1의 ‘입찰 로또’에 사활을 걸고 있는 형편이다

일부 토종 대표 건설사의 부도설까지 나돌면서 개발도시 인천이 건설사들의 무덤으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형 턴키공사에 참여하는 지역 대표 건설사들도 입찰에서 한번 떨어질 때마다 설계비를 수억원씩 날리는데다, 수주 시에도 낙찰 금액보다 실제 공사 금액이 더 나오는 경우도 많아 회사 규모에 상관없이 업계 전반이 어렵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