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TP “市 재정악화로 첨단신산업 육성 차질 우려”
경기침체와 시 재정악화로 첨단 신산업 육성에 차질이 우려되는 만큼 중앙정부의 국책사업을 따내기 위한 기획능력을 갖춘 ‘(가칭) 인천과학기술위원회’ 신설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테크노파크(TP)는 17일 ‘인천 R&D 기획 및 조정 역량 강화’라는 이슈리포트를 통해 경기침체와 인천시의 재정악화로 연구개발 투자가 위축되면서 지역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바이오산업 등의 첨단 신산업 유치 및 육성이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TP는 한국은행 인천본부가 2012년 인천경제성장률을 2010년 5.9%, 2011년 4.2%보다 낮은 3.9%를 전망하는 등 경제여건 악화 및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현재의 시 재정악화가 빠른 시일 내 회복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시가 지역발전 전략으로 추진하는 첨단산업에 제동이 걸릴 소지가 많다고 지적했다.
또 TP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지난 2010년 연구발표한 인천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4위였지만 실제 R&D 활동과 그 결과물인 자원과 활동지표는 각각 11위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며 인천의 R&D 성과가 타 지역에 뒤처지고 있는데다 R&D를 전략적으로 이끌어갈 조정체계도 미약해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높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TP는 시의 지역발전 청사진과 연계한 전략적 R&D 투자를 기획, 추진할 ‘인천과학기술위원회’를 구성해 과학기술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해 R&D의 활성화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인천TP 관계자는 “재정악화를 벗어나 백년대계를 내다보는 첨단 신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R&D 성과 및 투자효율성을 높이고, 중앙정부의 대형 국책사업을 많이 따내기 위한 기획 및 조정 역량을 갖춘 전문기구의 신설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