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로 질식하는 바다, 누가 책임지나

매년 30억 들여 800여t 수거… 주민 등 자원봉사 의존엔 한계

국토부 “통합관리시스템 도입”

경기지역 바닷가에서 해마다 수거되는 해양 쓰레기가 800여t에 달하는 등 해안이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수거되는 해양쓰레기의 양은 ‘빙산의 일각’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예산 및 인력부족 등으로 담당공무원과 인근 주민, 어민의 자원봉사 수거활동 외에 다른 방안 자체가 없어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5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매년 30억원 가까운 예산을 세워 안산시와 화성시, 김포시, 평택시 등 도내 해안지역 시·군과 함께 해양쓰레기 수거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 2009년 829t, 2010년 777t, 2011년 861t 등의 해양쓰레기를 수거, 처리했다.

이는 지역 내 바닷가와 항·포구에 방치된 해양쓰레기를 수거해 해양환경 보전 및 어촌관광 활성화, 수원자원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해양쓰레기 수거는 공공근로사업 및 인근 주민이 해안가에 방치된 각종 생활쓰레기를 거둬들이고 바다에서 조업 중인 어민이 그물 등에 걸린 폐어망, 폐어구, 폐스티로품 등을 육상으로 싣고 와 처리하는 방법에 그쳐 보다 실효성 있는 수거작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70~80% 이상이 육상에서 발생한 해양쓰레기는 특성상 바다 속 깊이 가라앉은 양이 해안가로 밀려오거나 어민들의 그물망에 걸리는 것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재 공공근로사업과 주민, 어민 등의 자원봉사에만 의존한 시스템상 눈에 보이는 해양쓰레기를 모두 다 거둬들이기도 어려운데다, 육상쓰레기가 바다로 흘러드는 근본 원인을 차단하지 않고서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일선 시·군 관계자들은 “해안지역 주민을 독려해 자원봉사 형식으로 수거작업을 시행하고 있으나 한계가 있다”면서 “대부분 60대 이상의 노년층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다, 기본 자료 등이 부족해 현실적으로 전문 수거업체에 위탁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4일부터 해양쓰레기 통합관리시스템을 도입, 수거사업에 대한 정책수립과 관리기반을 구축해나가고 있다”면서도 “해양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해양환경보전에 대한 성숙한 시민의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