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교차로 설치·어린이보호구역 개선 등 252곳 사업 추진 관련기관 협의 지연·주민 반대… 올 사업비 집행률 4.6% 그쳐
인천지역 지자체들이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교통사고 잦은 곳이나 어린이보호구역을 개선하는 도로교통안전 개선사업이 일부 주민반발과 기관협의가 제때 이뤄지지 않아 지지부진한 등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27일 인천시와 군·구 등에 따르면 올해 72억원을 들여 교통사고 잦은 곳에 회전교차로를 설치하거나 어린이·노인보호구역 개선, 폐쇄회로(CC)TV 확대·설치,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등 지역 내 총 252곳에 대한 도로교통안전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올 사업비 43억원 중 2억원(4.6%), 또 지난해 다 쓰지 못해 이월된 사업비 28억원 중 10억원(36.8%)만 집행되는 등 사업이 더디다.
회전교차로에 대해 일부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데다, 관련 기관과 협의가 늦어져 사업이 설계단계에서 멈춰 섰기 때문이다.
남동구가 만수6동 A아파트 앞에 교통사고를 줄인다며 회전교차로를 설치하려 했지만 아파트 주민 80%가 반대하고 나서 설계가 중단됐고, 강화군도 지난해 초지삼거리에 회전교차로를 설치하려 했으나 주민들과 보상협의가 늦어져 올해 들어 겨우 공사를 벌이고 있다.
특히 교통구조가 바뀌고 각종 시설물이 설치되는 탓에 인천지방경찰청, 도로교통안전공단, 한국전력공사 등 관련기관과의 협의가 필수지만, 각 군·구별로 각각 협의를 하다 보니 늦어지는 경우가 태반이다.
A구 관계자는 “공사 전 사전절차나 협의기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서 “시에서 군·구별 사업이 선정되면, 일괄적으로 관련기관과 협의하고 설계하는 등 사전 절차기간을 줄이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올해 교통사고 잦은 곳에 대한 개선사업은 중·연수구만 설계용역을 발주 했을 뿐, 나머지 지자체는 전혀 손도 대지 못하고 있고, 어린이 CCTV설치사업은 모든 사업이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사업이고, 정부 방침에 따라 6월까지 국비라도 모두 집행해야 하지만 여러 문제 때문에 잘되지 않고 있다”며 “가능한 한 빨리 사업이 추진되도록 노력하는 한편, 내년부터는 최소한 2~3월 중 설계를 끝내고 공사할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