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경기도 기업체 사회공헌, 새바람이 필요하다

최근 기업들의 복지경영과 더불어 기업인과 정치인의 재산 사회 환원, 연예인의 재능 기부활동이 이어지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또는 ‘사회공헌’ 이란 말이 언론매체를 통해 심심찮게 회자되고 있다.

기업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복지 수준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그러면서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상생이 사회적 화두로 등장하면서 더 이상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복지재단은 2011년 경기도 소재 기업체의 사회공헌 활동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상공회의소를 포함한 도내 경제 단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실태 조사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사회공헌에 참여하는 기업체들은 전체 매출액 중 0.19%를 사회공헌 활동에 사용하여 높은 사회공헌 참여 수준을 보였다.

특히 기업체의 사회공헌 활동이 사회복지, 교육, 재난 구호 분야에 집중돼, 기업 사회공헌 활동이 경기도민의 사회복지 수준 향상에 직접적인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번 연구를 통해 경기도의 기업체를 포함한 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의 한계 또한 확인했다.

첫째, 중소기업의 낮은 사회공헌 참여율이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중소기업 중 21%만이 사회공헌 활동에 참여했다. 중소기업이 최근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사회공헌 참여 비율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중소기업에게 대기업처럼 막대한 비용을 투입하는 사회공헌 활동을 기대할 수는 없다. 대신 중소기업은 자원봉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만약 인력과 재원이 부족하다면 지역사회의 중소기업체가 연대해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또한 러·한 기업체의 사회공헌 활동을 경기도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장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사회공헌 전략의 부재다.

최근 언론에서 기업체의 사회공헌 비용 규모에 비해 국민들의 인식 수준은 매우 낮다고 지적하며, 그 원인으로 사회공헌 전략의 부재를 지적하고 있다.

국내 글로벌 기업들은 기업 사회공헌의 국제표준인 ISO26000에 대응하기 위해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이 상황에 따라 사회공헌 활동을 추진함으로써 사회공헌 활동의 지속성과 효과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기업의 50%와 중소기업의 23%만이 연초에 사회공헌 활동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했다.

기업과 국민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공헌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변화가 필요하다.

선행은 자랑하지 않는 것이 미덕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식이 기업체의 사회공헌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기업체는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대내적으로 직원의 사기를 높이고, 단결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 기업 이미지를 개선해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기업체가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홍보할 때, 경기도 기업들의 성장지수와 도민의 행복지수가 함께 높아질 것이다.

이 상 무 경기복지재단 정책지원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