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착공…인천~김포고속도로 난항 예상

중·동구 노선변경·지하화 요구에 시공사 ‘사업비 증가’ 들어 난색…굴착허가 불허 방침 등 갈등 우려

공사 추진만 10년째인 인천~김포 고속도로(수도권제2외곽순환고속도로)가 8월 착공을 앞두고 있지만 노선변경이나 지하화를 요구하는 인천지역 지자체들의 반발로 난항이 예상된다.

특히 고속도로 공사를 하려면 해당 지자체로부터 굴착허가를 받아야하는 탓에 갈등까지 예고되고 있다.

15일 인천시와 인천김포고속도로㈜ 등에 따르면 지난 2002년께부터 1조5천130억원을 들여 인천과 김포를 잇는 28.57㎞(인천구간 19.6㎞) 고속도로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 민간 조달자금 1조2천903억원 중 1조400억원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유치하면서 오는 8월 착공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고속도로가 지나는 중구, 동구 등 지자체의 민원사항이 거의 반영되지 않아 공사를 정상적으로 추진하는데는 상당히 애를 먹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동구의 경우 중구 삼익아파트부터 남청라(북항)까지 5.5㎞ 터널 구간 중 2.5㎞ 구간이 동구 송현동 동부아파트와 동인천역세권개발구역 등 관통하도록 설계되자 인천시와 인천김포고속도로㈜에 공식적으로 노선변경을 요구하고 나섰다.

재개발·재생사업 구역 아래를 관통하게 되면 상부지역에는 아파트를 지을 수 없고 녹지만 조성해야 하는데다 아파트 밑으로 고속도로가 지나게 되면 주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져 사업성이 떨어지고 재개발사업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또 중구는 고속도로를 대부분 화물차량이 이용하는 만큼 비산먼지와 소음 등이 우려된다면서 중구 항운아파트~삼익아파트를 잇는 고가도로 구간 1.5㎞를 지하화해주거나 방음터널을 설치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의견이 반영되지 않으면 굴착허가를 내주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인천김포고속도로㈜ 측은 노선을 변경하면 사업비가 160억원 가량 증액되고 노선이 바뀌는 지역에서는 오히려 역민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노선변경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단, 이달안으로 동구지역을 우선으로 주민설명회를 열고 의견을 조율하기로 했다.

안병배 인천시의원은 “고속도로가 도심 한가운데를 관통하면 상부지역 건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지 불안감이 크고 주민들의 민원은 불보듯 뻔하다”며 “정식으로 착공을 하기 전에 지자체, 주민들과 충분히 협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