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 뇌 보면 흡연 여부 알 수 있다

두뇌가 충동적 성향이면 흡연 가능성 높아

왜 어떤 청소년들은 담배를 피우고, 어떤 아이들은 그렇지 않을까? 또 왜 어떤청소년들은 다른 아이들에 비해 유난히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걸까? 청소년들의뇌 사진을 보면 이런 차이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버몬트 대학 연구팀은 14세 된 청소년 1896명의 뇌를 시험한 결과 이 같은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하면서손으로는 키보드의 버튼을 누르도록 했다. 연구팀은 중간 중간에 키보드를 누르지말아야 할 때를 알려주는 신호를 보냈는데, 이는 두뇌가 키보드를 누르는 동작을제어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충동적인 성향을 파악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그 결과 참가자들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키보드를 누르는 동작을 멈출수 있었던 아이들은 MRI 스캔에서 밝은 색을 띠는 것을 확인한 반면 그렇지 않은일부 청소년들은 좀 더 충동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이 같은 자기억제 시스템이 잘 작동하지 않는 아이들은 충동적인 성향이 된다”고연구에 참여한 버몬트 대학의 로버트 휄란 연구원은 말했다. 이는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도 관련되는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같은 대학 정신의학과 휴

가라반 교수는 “이런 아이들은 흡연이나 약물, 알코올 중독에 더 쉽게 빠져든다”고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와 같은 논쟁을 제기하고 있다. 즉충동적인 행동이 뇌에 반영된 것인지, 반대로 뇌가 충동적인 행동을 낳는 것인지분명치 않다는 것이다. 다만 연구팀은 “어쨌든 이번 연구 결과를 잘 활용한다면청소년들의 충동적인 행동에 의한 사고, 그에 따른 사망 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설명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네이처 신경과학(Nature Neuroscience)’ 지에 실렸으며미국 CBS 방송이 30일 보도했다.

[관련기사]

여성들은35세 때가 인생의 전성기?

노력해도살이 안 빠지는 이유 11가지

죽음을생각하면 정신건강에 좋다

스파이더맨본 10대, 흡연률 50% 높아져

비행청소년,감정 다루는 뇌 크기 작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