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합동 재개발’ 방식 변경 성남 본시가지 2단계 재개발사업
‘민·관 합동 재개발’ 방식으로 변경한 성남 본시가지 2단계 재개발 사업 입찰에 단 1개의 시공사도 참여하지 않아 재개발 사업이 불투명한 실정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난 16일 성남 본시가지 2단계 재개발 구역(중1·신흥2)에 대한 시공사 입찰을 마감한 결과, 입찰에 응한 건설사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앞선 사업설명회에서는 신흥2구역에 15개, 중1구역에 19개 건설사가 참여해 재개발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었다.
이처럼 시공사가 입찰을 외면한 것은 2~3개 이상의 건설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해야 하고 건설사가 일반분양과 미분양 물량을 떠맡음은 물론 3천억원으로 추정되는 공사비와 이주비 이자비용, 용역비, 수수료 등의 사업비용이 이번 입찰에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시공사 선정이 어렵게 되자 해당 재개발 주민대표회의와 LH는 향후 일정에 대해 협의할 예정인 가운데 해당지역 주민들의 ‘구역지정 해제 요구’가 거세질 전망이다.
특히 성남 본시가지 2단계 재개발지인 신흥2·중1 구역 대표회의는 앞서 주민총회에서 입찰이 유찰이 되면 3년간 재개발 사업을 보류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주민대표 관계자는 “현장설명회에서 우리나라 1군업체 15개 건설업체가 관심을 보였으나 응찰자가 없어 난감하다”며 “하지만 아직 시간이 있는 만큼 조합원의 의견을 새로 모아 대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성남 본시가지 2단계 재개발은 사업시행자인 LH가 재정난으로 한때 사업 포기를 선언해 중단돼 오다 지난해 지역국회의원과 주민들이 시공사 선정에 직접 나서고, LH는 단순 시행자로 참여하는 민·관 합동 재개발로 변경해 사업을 재추진해 왔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