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군포 당동2지구서 파낸 토사 25t 트럭 1만대 분량 안전망 없이 송정지구에 ‘산더미’
호우땐 토사 붕괴 우려 주민들 “농지 피해” 반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엄청난 양의 토사를 인근 개발 지구에 안전조치도 없이 임시로 적치, 토사유출로 인한 각종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LH는 토사가 적치된 개발지구에서 음식점과 물류창고가 불법영업을 벌이고 있음에도 그대로 방관, 주먹구구식 사업 운영이라는 비난도 일고 있다.
29일 LH와 군포시 등에 따르면 LH는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군포 당동 2지구에서 터파기공사로 파낸 흙 15만㎥(25t 트럭 1만대 분량)를 사업장 내에 적치하도록 한 사업계획서에도 불구, 공간 부족을 이유로 자체 내부협의를 통해 인근 송정지구로 옮겨 임시로 쌓아놓고 있다.
그러나 수 천㎡의 부지에 10m가 훨씬 넘는 높이로 토사가 쌓인 송정지구에는 방진덮개나 안전망 등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아 토사 붕괴 등 사고 위험이 만연해 있다.
특히 송정지구 내에는 학교급식을 위한 농지 1만여㎡가 있어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됨은 물론, 하수관로가 없는 송정지구 내 수암천 지류까지 토사가 쌓이고 있다며 아랫마을 농민들도 반발하고 있다.
또 토사를 트럭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군포시에는 비산먼지로 인한 민원이 쇄도했지만, 시는 지난 2월 초께 단순히 계도 조치만 취했을 뿐 사실상 손을 놓고 있어 이같은 위험을 부추켰다는 비난도 일고 있다.
이와 함께 당초 사업계획과 다르게 사업지구 밖으로 토사를 유출하면서 트럭 운반비용 등 수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 이는 당동 2지구 입주예정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이미 보상이 끝난 송정지구엔 음식점과 물류창고가 버젓이 불법영업을 벌이고 있지만 LH는 이같은 사실을 알고도 방치하면서 사실상 치외법권이 아니냐는 비난마저 일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난 2월 민원이 제기된 후 계도 조치를 통해 안전시설 등이 제대로 설치된 것으로 알고 있었다”면서 “현장 확인 후 즉각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송정지구로 옮겨진 흙은 오는 5월부터 9월까지 다시 당동2지구로 옮겨올 예정이라 불법은 아니다”며 “다만 당동2지구의 아파트 입주와 맞물려 안전관리에 소홀히 한 부분이 있는 만큼 농사 짓는 지역에 피해가 안가도록 최대한 빨리 방진막 설치 등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김성훈·이명관기자 mklee@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