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천지역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기업들의 수익성이 환율효과와 수출증가 및 생산호조에 힘입어 전년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상공회의소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 사업보고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된 ‘2011년 인천지역 상장기업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인천지역 상장기업은 68개(유가증권 결산법인 27개·코스닥 결산법인 41개)로, 업종별로는 제조업(53개)이 가장 많고, 건설업(5개), 기타 10개사 순이다.
이들 상장기업의 2011년 영업실적을 살펴보면 전체 매출액은 35조524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21.0%(6조953억원)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조4천290억으로 전년 대비 12.1%(2천628억원) 늘었다. 순이익도 1조2천167억원으로 전년 대비 22.0%(2천197억원) 증가했다.
이처럼 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수출증가와 생산호조, 환율효과 등에 따른 효과로 추정된다. 그러나 순이익률은 전년과 비슷한 3.4%를 기록해 상장기업들의 수익성 개선에도 불구, 기업 활동의 효율은 정체된 것으로 분석됐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전자업계 및 자동차 관련 업종의 호조와 경기부양 정책 등으로 관내 상장기업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이익이 증가했다”며 “그러나 여전히 원자재가 및 소비자물가 상승, 대북 리스크, 세계경기 불확실성이 인천경제 불안요인으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 상장기업의 전국(1천691개) 대비 비중은 4.0%이며, 시가총액은 15조2천261억원으로 울산·부산·대전에 이어 4위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