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 낮고 자격요건 높아 인천 30곳 중 2곳만 채용
시장경영진흥원이 전통시장 경영 개선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전통시장 매니저’ 사업이 현실보다 높은 자격요건과 한정된 지원으로 현장과 겉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6일 시장경영진흥원 등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전통시장이 스스로 경영상황을 진단하고 마케팅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상인회가 유통·행정 전문가인 시장 매니저를 고용하면, 인건비를 지원해주는 전통시장 매니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매니저 사업이 적은 급여인데도 자격요건만 지나치게 높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현재 매니저는 유통·마케팅 분야 5년 이상 근무, 공공 및 금융기관 10년 이상 근무 등의 자격을 갖춰야 하는데, 통상 이 정도면 경력자 연봉을 받는다.
반면 매니저는 연봉 대졸 초임에도 못미치는 1천800만원에 불과하다.
사람 찾기도 하늘의 별따기다. 영세한 상인회가 매년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해 적합한 인물을 섭외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니 인천지역 내 30여개 전통시장 중 올해는 고작 2곳만 매니저를 뽑았고, 지난해에도 4곳밖에 매니저를 채용하지 못했다.
게다가 진흥원이 전체 인건비 중 최대 70%까지만 지원해주다 보니, 나머지 인건비는 상인회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해 상인회의 부담은 여전하다.
인천 상인연합회 관계자는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위해 매니저가 필요하지만, 지금의 조건은 너무 높은 문턱”이라며 “지자체와 상인회가 함께 추천하는 인물들도 자격요건에 포함하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진흥원 관계자는 “사업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고려하다 보니 자격요건이 높을 수 밖에 없다”며 “점차 시장의 현실을 감안, 자격요건을 낮추는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